<앵커 멘트>
일정 규모 이상의 횡단보도에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설치가 의무화돼있죠.
시각장애인들의 눈이 돼야 할 이 음향신호기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고장난 채 방치된 곳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선천적 시각장애로 한 번도 앞을 보지 못한 사람에게 낯선 길을 걷고 또 걸어야 하는 일상은 모험과 같습니다.
의지할 것은 점자블록과 이를 읽을 수 있는 지팡이 뿐입니다.
횡단보도를 건너는 일은 더 어렵습니다.
음향신호기 인근에 점자 블록이 깔려있지 않아 발이 빠지고, 어렵사리 음향신호기를 찾아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인터뷰> 김훈(시각장애인) : "음향신호기가 고장 나있으면 주변 정보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독립보행이 힘들어지거든요."
더 큰 문제는 음향신호기 고장 신고를 하려해도 전화번호 안내가 점자로 돼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전국 2만 7천여 개의 음향신호기를 자치단체별로 관리하다보니, 고장신고 전화번호 점자표기 규정이 없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향신호기 상단에 고장신고 전화번호 점자 표기를 의무화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영택(국민권익위원회 제도개선과 사무관) : "각 시·도의 지역번호 다음에 120으로 전화를 하시면 바로 신고접수해서 고장된 것을 수리할 수 있습니다. "
내실있는 장애인 지원정책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눈높이에 맞춘 행정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출처: kbs
해당기사링크: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67293&ref=A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93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1281 | 인권위, 장애인주차장 폐쇄 대구 아파트 조사 | 손지민 | 2016-05-12 | 5532 | |
1280 | 서북구청, 교통안전시설 개선 | 편의증진센터 | 2016-05-10 | 6135 | |
1279 | '유니버설 디자인'으로 인성·창의교육 해요 | 편의증진센터 | 2016-05-10 | 5894 | |
1278 | 창원시 시각장애인 점자블록 엉터리 설치 | 편의증진센터 | 2016-05-09 | 5876 | |
1277 | 김제시, 차량 인도 진입 억제용 '볼라드' 405개 정비 | 편의증진센터 | 2016-05-09 | 6296 | |
1276 | 시각장애아동에게 점자를 가르쳐주는 레고 블록 | 편의증진센터 | 2016-05-09 | 6581 | |
1275 | 개원한 어린이재활병원 장애인 배려 ‘미흡’ | 손지민 | 2016-05-04 | 6139 | |
1274 | 광명동굴, 아동 및 장애인 편의시설 완벽? 시민인권위, 모니터링 실시 | 편의증진센터 | 2016-05-04 | 7012 | |
1273 | 세종누리학교, 장애물없는 생활환경(Barrier-Free) 인증 | 편의증진센터 | 2016-05-03 | 5383 | |
1272 | '교통약자 보호'위해 지자체장, 보호구역 직권 지정 | 편의증진센터 | 2016-05-03 | 6572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