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외국인도 갸우뚱…외계어 지하철 안내판
편의증진센터
2016-08-18
7174

 서울 지하철역의 안내판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이용객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16일 오전 지하철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출구 안내 표지판에는 5번 출구 방면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명시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경우 이미 2013년 대구광역시 동구로 이전했다. 1번 출구 방면에 적힌 '서울패션센터' 역시 2011년 폐쇄된 후 지금은 서울패션아트홀로 변경됐다. 지하철 안내판이 3~4년 동안 잘못된 건물 정보들을 표시하고 있었음에도 수정되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업데이트가 안 된 표지판은 지하철 4호선 명동역에서도 확인됐다. 지난달 중구에서 마포구로 이전한 '교통방송'이 안내판 1번 출구 방면에 그대로 남아있었다.
중국인 관광객을 위한 한자 병기 역시 제각각이었다. 지하철 7호선에 있는 '뚝섬遊園地(유원지)', '어린이大公園(대공원)', '高速(고속)터미널'이나 2호선 '蠶室(잠실)나루', '서울大入口(대입구)', '新亭(신정)네거리' 등과 같이 '한글+한자' 식으로 돼 있는 게 대표적이다.
심지어는 '衣類(의류)스웨터技術支援(기술지원)센터', '서울自願奉仕(자원봉사)센터'처럼 '한글+한자+한글' 형태도 있어 외국인을 위한 한자 병기가 맞는지 의구심을 자아내기도 했다.

 이같은 문제들은 안내판 오류를 시민 민원 등에 의존해 해결하고 있는 탓이 크다.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안내판 교체에 특별한 주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요청이 들어오면 수정을 하다보니 놓칠 수가 있다"며 "수동적으로 움직인 부분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서울시는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에 지난달 27일 '중국어표기 오류 개선요청' 공문을 보내 지하철 안내판 외국어 병기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를 요청했다. 시 관계자는 "지하철역명 중 순수 한글이 포함돼 있어도 중국인 관광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간체자로 표기하는 게 원칙"이라며 "앞으로 개선 작업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아시아경제

해당기사링크: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81611115653629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187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343 장애인 가게, 문턱 없애고 자동문으로   편의증진센터 2016-07-04 5032
1342 새 장애인 마크, 뭔가 달라 보이십니까?   편의증진센터 2016-07-04 10337
1341 경기도 사람잡는 '볼라드' 2만6319개 정비   편의증진센터 2016-07-04 5663
1340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문턱없는 등기국을 위한 장애인 편의시설 개최   편의증진센터 2016-07-01 6097
1339 지하철역 자전거경사로 시각장애인 보행 걸림돌   편의증진센터 2016-07-01 6244
1338 걷기 쉬운 무장애 탐방로를 아시나요?”   편의증진센터 2016-06-30 6862
1337 대전도시철도, 교통약자 위한 자동 안전발판 설치   편의증진센터 2016-06-30 6217
1336 신축 3층 건물, 창고 전락할 판   편의증진센터 2016-06-29 6166
1335 교통약자 위한 철도역사 정보 한눈에 보세요   편의증진센터 2016-06-29 6056
1334 서울 아파트에 '노인·장애인 복지시설' 설치근거 마련   편의증진센터 2016-06-29 6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