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은 노년층 비율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자연히 보행이 불편한 노인들이 많고, 지진 등 재난 발생 시 자칫 인명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크다. 17만 명이 넘는 등록 장애인은 더 말할 것도 없다. 특히 휠체어에 의존하는 지체 장애인의 경우 지진 등 재난 발생 시 집 안에 갇혀 공포와 절망감을 고스란히 몸으로 느껴야 하는 참담한 현실이다.
지난해 9월 경주 지진 발생 직후 장애인 단체가 나서서 장애인 지진 대응 매뉴얼 마련을 촉구한 바 있다. 그럼에도 행정안전부와 경북도 등 책임 기관들이 1년 넘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일반인의 대피 매뉴얼과 차별성이 전혀 없는 내용만 담아놓은 국민재난안전포털 사이트의 3분짜리 동영상 자료가 고작이라니 정부의 인식 수준이 얼마나 낮고 안이한지를 말해준다. 장애인과 노인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지진 행동요령과 대피 매뉴얼을 만드는 데 몇 년씩 걸린다는 게 말이 되는 소리인가.
우리와 달리 일본 등 지진이 잦은 국가들은 민간단체까지 나서서 장애인용`노인용 지진 대비 가이드를 만들어 널리 알리고 적절한 대응체계를 짜고 있다. 특히 장애인의 경우 장애 유형과 보행 보조 수단별 행동 및 대피요령을 일일이 나눠 상세히 안내하는 것은 물론이다. 하다못해 이를 참고해 매뉴얼을 만들어도 몇 달이면 충분한 일이다.
정부는 한참 늦었지만 재난 약자를 위한 대응 매뉴얼 등 시스템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 지진`화재 등 국민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재난이 잦아지는 데다 예고도 없다. 다급한 목소리를 더는 건성으로 들어서는 안 된다. 그래도 계속 미적댄다면 무능하고 무감각한 정부라는 소리를 들어도 싸다.
출처: 매일신문
해당기사링크: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7026&yy=2017
전체 검색 수 : 3204개 / 321 페이지 중 1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3204 | 모두가 '안전하게' 걷는 나라를 위하여 | 시각편의센터 | 2025-09-10 | 20 | |
3203 | 선형블록 좌우 60cm 공간 확보로 시각장애인의 안전보장해야! | 시각편의센터 | 2025-06-30 | 153 | |
3202 | "노란색 횡단보도" 확대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합의 우선되어야! | 시각편의센터 | 2025-06-30 | 114 | |
3201 | 무장애 관광 3법 통과로 시각장애인의 관광 기회 확대를 기대한다 | 시각편의센터 | 2025-03-31 | 656 | |
3200 | 2025년도 제1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 시각편의센터 | 2025-03-11 | 480 | |
3199 | 연구 뿐인 시각장애인 실내 보행 네비게이션, 상용화의 그날은 언제 | 시각편의센터 | 2025-01-10 | 700 | |
3198 | 진정한 의미의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기본법을 기대하며 | 시각편의센터 | 2025-01-10 | 611 | |
3197 | [홍보]2025년 센터 주요 사업 안내 | 시각편의센터 | 2025-01-06 | 604 | |
3196 | [인식개선, 뉴스]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각 도시철도 운영사와 차... | 시각편의센터 | 2024-12-23 | 489 | |
3195 | [인식개선, 뉴스]2024 17개 시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실무자 워크... | 시각편의센터 | 2024-12-23 | 585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