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장애인들이 장거리 여행을 가기란 보통 힘든 일이 아닙니다. 공항에 가서 비행기를 탈 때 따라가 봤더니 문제가 하나둘이 아니었습니다.
한지연 기자입니다.
<기자>
김포공항에서 제주도로 가는 한 시각장애인 동행자가 촬영한 화면입니다. 제주공항에 도착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는지 묻자.
[장애인 : 개인적으로 부탁하면 안내를 해주시는 거죠?]
[항공사 직원 : 저희가 따로 도우미 서비스가 없으신데 만약이라고 하시면 저희가 도와 드리긴 해요.]
하지만 제주공항에 도착하니 아무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문정/한국장애인재활협회 국장 : 혼자서 여행이나 방문은 지금 불가능한 상태라는 걸 의미하거든요.]
공항 청사에 반드시 설치하게 돼 있는 점자블록도 없습니다.
[아 정말 심각하다. 아예 선형 블록 자체가 없네요. 입구에 어떻게 들어가지?]
직접 공항을 찾아가 봤습니다. 이렇게 출입문에서도 바로 보이는 안내 데스크를 찾는 데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시각장애인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겠습니다.]
점자 블록이 없다 보니 출입구부터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불과 20m 남짓한 거리지만.
[실례합니다. 길 좀 여쭤볼게요.]
허공에 도움을 청했다 쭈뼛 쭈뼛하는 시민을 만나기도 여러 차례 결국, 1분 35초나 걸렸습니다.
공항에서 지하철로 통하는 길은 들어오는 쪽만 블록이 설치돼 있고.
[죄송합니다.]
위험한 상황도 발생합니다.
[엇 조심조심!]
[김포공항 관계자 : 리모델링을 진행을 할 수밖에 없으니까 이게 이렇게 된 부분입니다. (장애인분들이) 불편을 겪었다는 거는 뭐 인정 안 할 순 없죠.]
청각장애인도 마찬가지 기내에서 난기류에 대한 방송이 흘러나와도.
[좌석벨트 착용 상태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기류변화로 비행기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화면엔 어떤 주의 표시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장애인의 가장 큰 소망이지만 높은 문턱이기도 한 해외여행, 소수를 배려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아쉽습니다.
출처 : SBS 뉴스
해당기사 링크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84240&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141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1803 | 보행안전·편의시설 전국 꼴찌, 갈 길 먼 대구 교통복지 | 편의지원센터 | 2018-04-04 | 5568 | |
1802 | 고령자·장애인 교통 가장 편리한 지자체는 서울시 | 편의지원센터 | 2018-04-03 | 8813 | |
1801 | 용산역 앞 횡단보도 볼라드 시각장애인 안전 위협 | 편의지원센터 | 2018-04-03 | 6194 | |
1800 | 함안 시각장애인 어찌 다니란 말이오! | 편의지원센터 | 2018-03-29 | 6120 | |
1799 | 공공체육시설 실태조사에서 확인된 장애인 권익 '현실' | 편의지원센터 | 2018-03-29 | 6378 | |
1798 | 규격 안 맞는 인도 설치물 보행자 위협… 걸려 넘어져 부상 등 발생 | 편의지원센터 | 2018-03-29 | 6344 | |
1797 | 이동권 보호 목적 상실…위험천만 점자블록 | 편의지원센터 | 2018-03-29 | 6265 | |
1796 | 보행자 안전 위협하는 ‘볼라드’ | 편의지원센터 | 2018-03-26 | 5830 | |
1795 | 김헌규 “장애인친화형 유니버설 디자인 확대” | 편의지원센터 | 2018-03-26 | 6006 | |
1794 | [현장IN] 패럴림픽 폐막 일주일…장애인 이동권 현주소는 | 편의지원센터 | 2018-03-26 | 7055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