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심각한 평창 공중화장실 장애인 편의 실태
편의지원센터
2018-02-09
6794

 

 

4곳 점검결과 출입문, 내부 문제점 ‘수두룩’

진부공용버스터미널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진부공용버스터미널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12월 22일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강원도,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 등 관계 기관과 합동으로 ‘사회 통합적 평창올림픽 유산 창출 방안’을 발표했다.

발표 내용 중 하나는 지난해 말까지 ‘2018평창패럴림픽대회’ 개최도시인 강릉, 평창, 정선의 숙식업소와 공중화장실의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 완료가 들어 있었다.

이에 따라 지난 6일 평창군, 정선군이 장애인 편의 시설을 설치한 공중화장실을 직접 찾아가 장애인들이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을 지 점검했다. 이번에 점검한 공중화장실은 해당 군청과 통화를 통해 선정했으며 2회로 나눠 연재한다. 첫 번째는 평창군의 공중화장실 4곳의 점검결과다.


진부공용버스터미널, 진부면민체육공원=진부공용버스터미널에는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에 장애인화장실이 설치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출입문도 모두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열기 힘든 여닫이여서 출입하는데 이중의 불편을 겪는다.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공통적으로 공간이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가 아닌 눌러 사용해야 하는 물 내림 버튼이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용변기 등받이, 휴지걸이, 비상호출벨도 설치돼 있지 않아 문제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용해야 하는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 중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남성비장애인화장실 소변기에도 손잡이는 없었다.

진부면민체육공원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만 설치됐을 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더욱이 점검을 위해 찾았을 때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의 문은 잠겨 있었다.

평창올림픽시장, 평창버스터미널=평창올림픽시장 뒤쪽 공중화장실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가 양호하게 설치됐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가운데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각각 설치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출입문터치식자동문으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편하다.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공통적으로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비상호출벨로 없다. 용변기 양 옆의 손잡이는 서로의 간격이 넓어 장애인이 사용하기 힘든 상황이며,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됐다.

세면대 손잡이는 상하가동식이 아닌 고정식이며, 세면대 밑에 구조물이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세면대 접근을 방해한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평창버스터미널에는 공중화장실 출입구에는 경사로가 설치됐는데, 경사도가 가팔라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홀로 이동하기 힘들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설치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출입문도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여닫이, 남녀장애인화장실 미닫이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서 남녀장애인화장실로 향하는 통로는 좁아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고, 수동휠체어로의 이동도 힘들다.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공통적으로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휴지걸이와 비상호출벨도 없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도 없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용해야 하는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진부공용버스터미널 남녀장애인화장실 출입문은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열기 힘든 여닫이다. ⓒ박종태진부공용버스터미널 남녀장애인화장실 출입문은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열기 힘든 여닫이다. ⓒ박종태
진부공용버스터미널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공통적으로 공간이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가 아닌 눌러 사용해야 하는 물 내림 버튼이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용변기 등받이, 휴지걸이, 비상호출벨도 설치돼 있지 않아 문제다. ⓒ박종태진부공용버스터미널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공통적으로 공간이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가 아닌 눌러 사용해야 하는 물 내림 버튼이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용변기 등받이, 휴지걸이, 비상호출벨도 설치돼 있지 않아 문제다. ⓒ박종태
진부공용버스터미널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세면대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용해야 하는데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 중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박종태진부공용버스터미널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세면대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용해야 하는데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 중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박종태
진부면민체육공원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만 설치됐을 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더욱이 점검을 위해 찾았을 때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의 문은 잠겨 있었다. ⓒ박종태진부면민체육공원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만 설치됐을 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더욱이 점검을 위해 찾았을 때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의 문은 잠겨 있었다. ⓒ박종태
평창올림픽시장 뒤쪽 남녀비장애인화장실 가운데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각각 설치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출입문도 터치식자동문으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편하다. 반면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평창올림픽시장 뒤쪽 남녀비장애인화장실 가운데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각각 설치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출입문도 터치식자동문으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편하다. 반면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평창올림픽시장 뒤쪽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공통적으로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비상호출벨로 없다. 용변기 양 옆의 손잡이는 서로의 간격이 넓어 장애인이 사용하기 힘든 상황이며,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됐다. 세면대 손잡이는 상하가동식이 아닌 고정식이며, 세면대 밑에 구조물이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세면대 접근을 방해한다. ⓒ박종태평창올림픽시장 뒤쪽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공통적으로 용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비상호출벨로 없다. 용변기 양 옆의 손잡이는 서로의 간격이 넓어 장애인이 사용하기 힘든 상황이며,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됐다. 세면대 손잡이는 상하가동식이 아닌 고정식이며, 세면대 밑에 구조물이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세면대 접근을 방해한다. ⓒ박종태
평창올림픽시장 뒤쪽 여성장애인화장실은 점검 차 방문했을 때 창고로 사용하고 있었다. ⓒ박종태평창올림픽시장 뒤쪽 여성장애인화장실은 점검 차 방문했을 때 창고로 사용하고 있었다. ⓒ박종태
평창버스터미널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출입구에는 경사로가 설치됐는데, 경사도가 가팔라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홀로 이동하기 힘들다. 출입문도 여닫이어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출입하기 어렵다. ⓒ박종태평창버스터미널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출입구에는 경사로가 설치됐는데, 경사도가 가팔라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홀로 이동하기 힘들다. 출입문도 여닫이어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출입하기 어렵다. ⓒ박종태

평창버스터미널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서 남녀장애인화장실로 향하는 통로는 좁아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고, 수동휠체어로의 이동도 힘들다. ⓒ박종태 평창버스터미널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서 남녀장애인화장실로 향하는 통로는 좁아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고, 수동휠체어로의 이동도 힘들다. ⓒ박종태 

출처: 에이블뉴스 

해당기사링크: http://abnews.kr/1Hda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54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671 자부담 늘자 '관광약자 편의시설' 관심 시들   편의지원센터 2017-11-09 5833
1670 서울시, 보행자의 날 맞아 10일 ' 보행도시 서울 토론회'   편의지원센터 2017-11-08 5953
1669 서울시, 한국유니버설디자인협회와 협약…"도시재생사업 협력"   편의지원센터 2017-11-07 6602
1668 2017 경기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개선방안 토론회, 8일 성남시청서 개최   편의지원센터 2017-11-07 6236
1667 ‘걷기 좋은’ 나라를 위하여   편의지원센터 2017-11-06 6070
1666 "횡단보도 51곳 중 1곳만 시각장애 음향신호기 제대로 설치"   편의지원센터 2017-11-02 5982
1665 [독자와 함께!] 70대 시각장애 어르신의 ‘분노의 보행길’   편의지원센터 2017-11-01 5703
1664 개관한 안성장애인복지관 장애인 편의 ‘미흡’   편의지원센터 2017-11-01 7083
1663 송영만 도의원, 오산역환승센터 이동편의시설 점검   편의지원센터 2017-10-30 5364
1662 광주 남구, 시내버스 승강장에 ‘Barrier Free’ 설치   편의지원센터 2017-10-30 6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