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점자블록이 망가진 채 방치돼 있어요!
편의지원센터
2018-04-23
6979
국민권익위, ‘장애인의 날’ 맞아 최근 3년간 점자블록 민원 분석...61%가 ‘파손·훼손’
점자블록 재설치 요구 사유

▲ 점자블록 재설치 요구 사유

[굿뉴스365]시각장애인 보행편의를 위한 ‘점자블록’의 설치와 관리가 미흡해 이를 관리하는 지자체들의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장애인의 날을 맞아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시각장애인 보행 편의 시설인 ‘점자블록’ 관련 민원 1,672건을 분석하여 발표했다.최근 3년간 점자블록 관련 민원의 월 평균 추이는 ’15년 58.7건에서 ’17년 39건으로 감소하다가 ’18년 46건으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 민원유형별로는 ‘점자블록 파손 등에 대한 신고’가 61.0%로 가장 많았으며, ‘점자블록을 가리는 것에 대한 신고’, ‘잘못 설치된 점자블록 재설치 요구’, ‘미설치 지역 설치 요구’, ‘각종 질의·건의 등 기타’ 등이었다.민원대상이 된 점자블록의 위치는 ‘횡단보도’가 85.5%로 가장 많고, ‘지하철 역사’, ‘버스정류장’, ‘공공시설’ 순으로 나타났다.각 민원유형별로 세부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점자블록 파손 등 신고’ 민원은, ‘점자블록 파손’이 50.5%로 가장 많았고, ‘점자블록 침하 등’, ‘점자블록 이탈’, ‘점자블록 들뜸’ 등의 순이었다. 점자블록의 기능을 방해하고 있는 것은 ‘불법주차’가 가장 많았고, 광고물 등, 노점, 볼라드, 그 외 기타 물건 및 시설 등의 순이었다. 또 점자블록을 가리는 시설물에는 버스정류장, 소화전, 시민공간 등 공공기관이 설치하는 시설물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점자블록 설치를 요구하는 민원은 130건으로, 위치는 횡단보도가 가장 많았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장소가 언급됐다. 점자블록 재설치를 요구하는 사유로는 ‘방향 유도 오류’로 인한 경우가 가장 많고, ‘점자블록 규격 불량’, ‘점자블록 색상 문제’, ‘미끄럼 방지 등 점자블록 재질 변경’ , ‘부적절한 위치에 설치’ 등으로 나타났다.민원 신청인은 20대와 40대가 많고, 신청지역은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이 전체의 64%를 차지했다. 국민권익위는 이번 분석결과를 장애인 보행 편의시설을 관리하는 자치단체 등 소관 기관에 통보하여 파손 또는 잘못 설치된 점자블록, 다른 시설물에 가려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점자블록 등에 대한 점검과 적극적 조치를 요청할 예정이다.안준호 권익개선정책국장은 “교통약자의 이동권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공익신고를 적극적으로 활성화하고, 수요자인 장애인 관련 단체 등과의 협업을 통해 제도적인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 굿뉴스365
해당기사링크: http://www.goodnews365.net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34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871 춘천시, 건축위원에 장애인 편의시설 전문가 위촉   편의지원센터 2018-07-09 5988
1870 [취재현장 ‘톡’]점자블록이 돌아왔다   편의지원센터 2018-07-06 6557
1869 하모니원정대 5기가 추천하는 7월 여행지 BEST 2   편의지원센터 2018-07-06 7185
1868 “장애인 편의 개선, 당사자 노력없인 불가능”   편의지원센터 2018-07-05 6596
1867 [카드뉴스] "장애인도 안전하게 지하철 이용하게 해주세요"   편의지원센터 2018-07-03 6095
1866 초록여행, 전 국민 참여 관광지 장애인 접근성 조사 캠페인   편의지원센터 2018-07-03 6367
1865 충북 보은·영동·옥천·음성·진천군 점자블록 예산 0원   편의지원센터 2018-07-03 6348
1864 경기도, 공공기관·복지시설 대상 장애인 편의시설 교육 실시   편의지원센터 2018-07-02 7109
1863 건물들과 맺은 '피의 연대기'   편의지원센터 2018-07-02 6054
1862 유성구, 장애인전용주차구역 홍보 캠페인 전개   편의지원센터 2018-07-02 7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