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점자블록 따라갔더니 통제구역…대중교통은 '그림의 떡'
편의지원센터
2018-04-23
5955

<앵커>

내일(20일)은 장애인의 날입니다. 앞이 보이지 않는 불편은 혼자 힘으로 다니는 것도 어렵게 하는데,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중교통 시설에는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 많습니다.

노동규 기자가 점검해봤습니다.

<기자>

1급 시각장애인 홍서준 씨의 지하철 이용은 도전의 연속입니다. 육중한 유리문 앞에서 뚝 끊어진 점자블록.

앞사람이 지나고 난 뒤 닫히는 문에 다치기 일쑤입니다. 점자블록이 엉뚱한 곳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홍서준/시각장애 1급 : 여기로 굳이 안내해서…어우, 여기 사무실이네.]

길이 여러 갈래로 난 환승역에서는 어디로 가야 할지 헷갈립니다. 역 밖으로 나가려 해도 몇 번 출구인지 알려주는 점자 표시가 없고,

[홍서준/시각장애 1급 : 여기를 내려가면 '좌측은 5번이다', '우측은 6번이다' 이런 식으로 점자안내가 있어야 맞아요.]

에스컬레이터를 타려 해도 점자블록은 계단으로만 이끕니다.

[홍서준/시각장애 1급 : 일부러 우리가 좋은 기계 놔두고 계단만 이용해야 한다는 법은 없잖아요.]

정류장에서는 주변에 물어볼 사람이 없으면 버스를 탈 수 없습니다. 전국적으로 버스 노선을 점자로 안내해주는 정류장은 절반도 안 됩니다.

그러다 보니, 시각장애인의 버스 이용률은 지난해 11.1%에 불과합니다.

고속버스는 더 어렵습니다. 현행법에는 터미널 주 출입구에서 매표소와 승강장까지 점자블록을 설치하게 돼 있지만, 이 터미널에는 점자블록이 아예 없습니다.

[이건범 (시각장애 1급)/한글문화연대 대표 : 이거는 물어보지 않고는 (다니는 게) 불가능해요. 들어섰을 때부터 장애인을 도울 수 있는 사람 한 사람 정도는 배치돼야…]

장애인 등 교통 약자를 위한 이동 편의 증진법이 제정된 건 2005년. 그로부터 13년이 지났지만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시외 외출 빈도는 3배 가까이 차이가 날 만큼, 여전히 장애인 이동권은 보장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722000&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4개 / 321 페이지 중 131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904 준공 앞둔 부천시장애인회관 이용 불편 우려   편의지원센터 2018-08-13 9556
1903 ‘제3차 NAP’ 속 장애인정책 살펴보기-②   편의지원센터 2018-08-13 6016
1902 무더위쉼터 가는 길 험난… 시각장애인 “꿈도 못 꿔요”   편의지원센터 2018-08-10 8336
1901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 수수료, 면적별로 차등 적용   편의지원센터 2018-08-10 5981
1900 국립군산검역소 대산지소,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우수 등급 받아   편의지원센터 2018-08-09 7209
1899 밤에 안 보이고 너무 낮고 간격 좁은 볼라드   편의지원센터 2018-08-09 7623
1898 경기도 무장애여행 가이드북 여행누림 제작   편의지원센터 2018-08-07 6967
1897 하모니원정대 5기가 추천하는 8월 여행지 BEST 2   편의지원센터 2018-08-07 6485
1896 '중구난방' 점자블록 시각장애인 안전 위협   편의지원센터 2018-08-06 6137
1895 장애물 없는 갈말읍사무소 장애인편의 ‘미흡’   편의지원센터 2018-08-03 10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