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시각장애인을 보조하는 안내견은 어디든 제한 없이 드나들도록 법으로 보장해뒀는데요,
공공시설마저 출입을 거부하는 일이 적지 않습니다.
시각장애인에게 안내견은 반려견이 아니라 눈과 발이나 다름없으니 참 당혹스러운 일입니다.
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김한나 씨 가족은 지난달 전남 보성의 휴양림을 찾았다가 바로 되돌아와야 했습니다.
한나 씨의 안내견이 출입을 거부당한 탓입니다.
[김한나/시각장애 1급 : "사전에 전화를 했을 때는 분명히 (출입이) 된다고 이야기를 했었는데 갑자기 와서 안 된다고."]
장애인복지법은 시각장애인 안내견의 식당이나 공공장소 출입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김동수/김한나 씨 아버지 : "개털 이야기만 하시더라고. 그건 정당한 사유가 될 수 없다고 해도 막무가내로."]
휴양림을 운영하는 보성군은 시설 보호를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합니다.
[보성군청 관계자/음성변조 : "(안내견이) 방에 들어가면 흠집을 낼 수 있지 않습니까? 이미 제가 가서 보니깐 (안내견이) 착착착 다니고 있더라고. 그래서 '아이고 안됩니다.' 했습니다."]
안내견과 3년째 생활하는 고예진 씨도 비슷한 경험이 많습니다.
식당이나 카페 같은 곳에 드나드는 건 더욱 힘든 일입니다.
사정을 설명해도 쫓겨나기 일쑤입니다.
[고예진/시각장애 1급 : "개 있으면 털 날린다. 강아지가 짖거나 무서워하시는 분들 계시면 어떡할 거냐." 이런 이유로 거부를 가장 많이 하시는 거 같아요."]
안내견은 시각장애인과 함께 지내기 전 철저한 훈련을 거칩니다.
[박재만/안내견 훈련사 : "반려견과 동일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세요. 안내견은 훈련을 잘 받았기 때문에 식당이나 호텔에서도 흥분하지 않고 얌전하게 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과 함께 생활하는 안내견은 현재 60여 마리입니다.
현행법도 무색하게 국가인권위에는 안내견 출입을 부당하게 거부당했다는 진정이 꾸준히 접수됩니다.
출처:KBS뉴스
해당링크:
전체 검색 수 : 3209개 / 321 페이지 중 111 페이지
|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 2109 | 서울시, 장애인편의시설 인식개선 ‘희망나루’ 개최 | 편의지원센터 | 2019-04-09 | 7482 | |
| 2108 | 산불·지진 등 재난 속 ' 장애인 안전' 보장, 어떻게? | 편의지원센터 | 2019-04-09 | 7696 | |
| 2107 | [태백소식]소규모 민간시설 접근성 개선사업 추진 등 | 편의지원센터 | 2019-04-08 | 8081 | |
| 2106 | 장애 법우, 우리 곁의 도반임을 상기해야 | 편의지원센터 | 2019-04-08 | 7013 | |
| 2105 | [초점] 중앙로 차없는 거리, 아쉬운 시각 장애인 배려 | 편의지원센터 | 2019-04-05 | 7386 | |
| 2104 | [긴급진단] 교통약자 편의 '여전히 뒷전'…또 예산 핑계 | 편의지원센터 | 2019-04-05 | 8879 | |
| 2103 | 진주시 장애인단체 Barrier Free 인증 롯데몰 혁신점서 무료 영화관람 | 편의지원센터 | 2019-04-04 | 7314 | |
| 2102 | 도, 하남·별내·옥정선 BF인증 추진‥차별 없는 철도이용 환경 만든다 | 편의지원센터 | 2019-04-04 | 9706 | |
| 2101 | “유모차 휠체어도 안전히 다녀요” 고창군 무장면 보도블럭 정비 나서 | 편의지원센터 | 2019-04-04 | 6969 | |
| 2100 | 장애인 공공시설 이용 차별 없어야 | 편의지원센터 | 2019-04-03 | 7310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