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들의 보행 편의를 위해 설치된 점자블록이 외려 그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니 심각한 문제다. 점자블록이 설치기준에 맞지 않거나 파손된 채 방치되고 있는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제주시내 퍼시픽호텔과 중앙초등학교, 관덕정 인근의 경우 규격 또는 색상이 달라 장애인들이 애로를 겪고 있다고 한다. 대부분 점자블록 설치 기준을 어긴 사례들이다.
또 규정에는 맞지만 관리부실로 보수가 필요한 곳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적십자사제주특별자치도지사나 제주항여객터미널 등의 인도는 점자블록이 검정으로 변색 됐거나 훼손된 채 방치되는 상황이다. 저시력장애인에게 검은색 점자블록은 웅덩이로 보여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 앞서 ㈔제주장애인인권포럼이 지난해 제주시내 점자블록 427곳을 점검한 결과 법령에 저촉된 204곳(48%)이 지적받기도 했다.
이 같은 상황은 서귀포시 지역도 별반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인도에 점자블록을 설치하면서 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게 근본원인이다. 아니면 점자블록 시공의 기초적인 지식조차 없는 공무원이 버젓이 해당 업무를 맡고 있다는 얘기밖에 안 된다. 아직도 장애인 이동권 보장이 형식적으로 흐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들이 인도에서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깔아놓은 바닥이다. 현행법상 보행 중 주의해야 할 곳, 동선의 변화지점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이동권의 안전을 위해서다. 허나 실상은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모습과 배치된다. 자칫 시각장애인들에게 치명적인 위험마저 배제할 수 없다.
도로의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들에게 눈과 같다. 길잡이 역할을 해야 하는 점자블록이 안전에 위협을 주고 있으니 부끄러움을 넘어 한심하다. 안전하다고 믿었던 점자블록에 안전을 위협당해서야 말이 안 된다. 차제에 점자블록을 포함해 장애인 이동 편의시설을 전수 점검하기 바란다. 그 결과에 따라 규정을 제대로 지켜 인도가 장애 없는 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출처 : 제주新보
해당링크:
전체 검색 수 : 3209개 / 321 페이지 중 1 페이지
|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 3209 | '교통약자'에 시각장애인은 없었다 – 스마트 철도기술 전면 재검토해야! | 시각편의센터 | 2025-10-24 | 13 | |
| 3208 |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도로교통공단과 협업하여 흰지팡이날 기념 시각장애... | 시각편의센터 | 2025-10-24 | 18 | |
| 3207 | 2025년도 제2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 시각편의센터 | 2025-10-22 | 32 | |
| 3206 |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의 올바른 설치 기준 정립 및 개발 연구 이해관계자 자... | 시각편의센터 | 2025-10-22 | 29 | |
| 3205 | 2025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무자 교육 진행 | 시각편의센터 | 2025-10-22 | 32 | |
| 3204 | 모두가 '안전하게' 걷는 나라를 위하여 | 시각편의센터 | 2025-09-10 | 143 | |
| 3203 | 선형블록 좌우 60cm 공간 확보로 시각장애인의 안전보장해야! | 시각편의센터 | 2025-06-30 | 238 | |
| 3202 | "노란색 횡단보도" 확대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합의 우선되어야! | 시각편의센터 | 2025-06-30 | 211 | |
| 3201 | 무장애 관광 3법 통과로 시각장애인의 관광 기회 확대를 기대한다 | 시각편의센터 | 2025-03-31 | 772 | |
| 3200 | 2025년도 제1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 시각편의센터 | 2025-03-11 | 642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