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들의 보행 편의를 위해 설치된 점자블록이 외려 그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니 심각한 문제다. 점자블록이 설치기준에 맞지 않거나 파손된 채 방치되고 있는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제주시내 퍼시픽호텔과 중앙초등학교, 관덕정 인근의 경우 규격 또는 색상이 달라 장애인들이 애로를 겪고 있다고 한다. 대부분 점자블록 설치 기준을 어긴 사례들이다.
또 규정에는 맞지만 관리부실로 보수가 필요한 곳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적십자사제주특별자치도지사나 제주항여객터미널 등의 인도는 점자블록이 검정으로 변색 됐거나 훼손된 채 방치되는 상황이다. 저시력장애인에게 검은색 점자블록은 웅덩이로 보여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 앞서 ㈔제주장애인인권포럼이 지난해 제주시내 점자블록 427곳을 점검한 결과 법령에 저촉된 204곳(48%)이 지적받기도 했다.
이 같은 상황은 서귀포시 지역도 별반 다르지 않다고 한다. 인도에 점자블록을 설치하면서 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게 근본원인이다. 아니면 점자블록 시공의 기초적인 지식조차 없는 공무원이 버젓이 해당 업무를 맡고 있다는 얘기밖에 안 된다. 아직도 장애인 이동권 보장이 형식적으로 흐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들이 인도에서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깔아놓은 바닥이다. 현행법상 보행 중 주의해야 할 곳, 동선의 변화지점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이동권의 안전을 위해서다. 허나 실상은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모습과 배치된다. 자칫 시각장애인들에게 치명적인 위험마저 배제할 수 없다.
도로의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들에게 눈과 같다. 길잡이 역할을 해야 하는 점자블록이 안전에 위협을 주고 있으니 부끄러움을 넘어 한심하다. 안전하다고 믿었던 점자블록에 안전을 위협당해서야 말이 안 된다. 차제에 점자블록을 포함해 장애인 이동 편의시설을 전수 점검하기 바란다. 그 결과에 따라 규정을 제대로 지켜 인도가 장애 없는 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출처 : 제주新보
해당링크:
전체 검색 수 : 3209개 / 321 페이지 중 101 페이지
|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 2209 | 차도로 시각장애인 내모는 '횡단보도 쉼터' | 편의지원센터 | 2019-07-30 | 7174 | |
| 2208 | 부족한 의식 소홀한 관리 곳곳이 암초 | 편의지원센터 | 2019-07-26 | 7382 | |
| 2207 | "진천·음성·괴산·증평군 장애인 전용 체육관 공동 건립하자" | 편의지원센터 | 2019-07-26 | 7797 | |
| 2206 | 완주경찰서, 사회적 약자 인권진단 실시 | 편의지원센터 | 2019-07-25 | 7027 | |
| 2205 | 휠체어 탑승 고속버스 운영 ‘용두사미’ 우려 | 편의지원센터 | 2019-07-25 | 7133 | |
| 2204 | 충남 홍성군, 장애인 행복한 삶 위해 발벗고 나섰다 | 편의지원센터 | 2019-07-25 | 9187 | |
| 2203 | [시각장애인 대학생활 동행기] ①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졌음 좋겠어... | 편의지원센터 | 2019-07-24 | 5707 | |
| 2202 | 장애인 '교통 안전지대' 턱없이 부족, 관리도 뒷짐 | 편의지원센터 | 2019-07-24 | 10228 | |
| 2201 | 손으로 읽어요··· 시각장애인 위한 점자 스마트워치 | 편의지원센터 | 2019-07-18 | 6752 | |
| 2200 | 인권위 “ 장애인 편의제공, 영화관은 책임 없다”… 논란 일파만파 | 편의지원센터 | 2019-07-18 | 8049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