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박재호 의원,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 개정안 대표 발의
편의지원센터
2019-06-20
7643

 

 

▲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부산 남구을)의원 

 

 

 

 

 

 



박 의원 "장애인의 이동과 접근성 향상 위해 관리·감독 철저히 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돼야"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건물의 사용 승인을 받기 위해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한 뒤, 승인이 떨어지면 편의시설을 없애는 얌체 건물주들을 보건복지부와 자치단체가 서로 협력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제출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재호(부산 남구을)의원은 20일 시설주관기관(자치단체)이 장애인 편의시설 훼손에 대한 시정명령과 이행강제금 부과내역에 대한 결과보고를 정기적으로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제출하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을 대표발의 했다고 밝혔다. 

장애인 편의시설은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점자블록, 장애인 안내·유도설비, 경사로, 화장실, 장애인 승강기 및 휠체어리프트 등이 해당된다. 

현행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 제23조에 따라 시설주관기관은 시설주에게 훼손된 장애인 시설물에 대해 시정명령을 할 수 있고, 제24조에 따라 시설주관기관은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시설주에게 3000만원 이하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수 있다.

현재 장애인 편의시설 운영실태 모니터링 사업은 보건복지부 주관 하에 5년에 한번 전수조사가 이뤄지고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 관리미흡에 대한 처벌은 각 자치구에서 별도로 담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듯, 모니터링과 처벌이 이원화 돼 있고, 시정 이행에 대한 결과보고를 별도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작 장애인 편의시설 관리의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는 모니터링으로 적발한 훼손 시설이 개선됐는지 알 수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개정안은 보건복지부가 장애인 편의시설 관리에 대한 책임을 더 이상 떠넘기지 않고, 자치단체를 감시하도록 하는 체계를 만들 수 있도록 했다. 

자치단체가 수행해야 하는 시정명령 및 이행강제금 부과에 대한 현황을 보건복지부장관이 정기적으로 보고받을 수 있게 법에 명시했다. 

박재호 의원은 "건물 사용승인만 얻고나면 장애인 시설을 훼손해도 아무런 제재가 없을 것이라는 건물주들의 안일한 생각으로 인해 애꿎은 장애인들만 불편을 겪고 있었다"며 "장애인의 이동과 접근성 향상을 위해서라도 보건복지부와 자치단체가 서로 훼손된 시설물에 대한 관리 책임을 미루지 않고, 함께 관리·감독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7개 / 321 페이지 중 113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2087 광주시,옛 전남도청 민주주의 산 역사의 현장으로 복원   편의지원센터 2019-03-25 7236
2086 영양군, 생활체육 시설 개선   편의지원센터 2019-03-25 6773
2085 울산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 총력 태세   편의지원센터 2019-03-25 8165
2084 천안시의회, 김각현·김길자·안미희 5분 발언   편의지원센터 2019-03-25 9113
2083 동두천시, 노후 교통시설물 정비로 보행환경 개선   편의지원센터 2019-03-22 6568
2082 폐업 상가 등으로 방치된 토지, 구립 어린이집으로 ‘환골탈태’   편의지원센터 2019-03-21 9351
2081 도내 노후 체육 시설 19곳 고친다   편의지원센터 2019-03-20 7347
2080 전장연, 16년 싸워온 장애인 인권 투쟁의 역사 사진집으로 펼쳐내   편의지원센터 2019-03-20 7563
2079 동해시의회, 추경 4471억 본격 심의   편의지원센터 2019-03-20 7764
2078 한시련, ‘제4회 시각 장애인 편의시설 전문가 교육’ 실시   편의지원센터 2019-03-20 7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