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보행안전구역'→'위험구역'
편의증진센터
2012-06-13
7448
어두운색 대리석 설치…시각장애인 구분 '힘들어'
한시련 관계자, "보행에 도움 안 되고, 오히려 위험"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2-06-13 11:37:01
![]() |
▲세종시의 한 횡단보도 부근에 보행안전구역이 조성된 모습. 양 옆으로 시각장애인에게 도움이 안되고 오히려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어두운색 대리석이 설치됐다. ⓒ박종태 |
시각장애인에게 보행안전구역임을 알리고 길을 안내하기 위해 어두운색의 대리석을 인도 양쪽 끝에 길게 설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각장애인은 빛조차 볼 수 없어 앞을 전혀 볼 수 없는 전맹과 거리, 빛, 색상으로 사물을 구분하는 저시력으로 나뉜다.
이로 인해 어두운색 대리석이 깔리면 시각장애인이 흰 지팡이나 발로 눌렀을 때 안내하는 점자블록이라고 느낄 수 없다. 또한 저시력 장애인들은 검은색 웅덩이로 보여 구분이 힘들다. 따라서 자칫 보행안전구역을 벗어나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실제 서울시도 지난 2009년 8월부터 보행안전구역을 만들면서, 어두운색 대리석에 대한 문제가 계속 제기됨에 따라 개선에 나서고 있다. 특히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3월 중증장애인들과 장애인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커뮤니티맵핑 제작에 나서 던 중 서소문 보행안전구역에 설치된 어두운색 대리석이 시각장애인에게 도움이 안 된다고 말했을 정도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관계자는 "어두운색 대리석이 설치된 보행안전구역은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위험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세종사업본부가 시각장애인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어두운색 대리석을 설치한 데는 이유가 있었다. 대학의 한 연구소가 2007년 3월 만든 책자에 의해 공사를 하고 있으며, 시각장애인 관련 단체의 자문을 전혀 구하지 않았다는 것.
세종사업본부 담당자는 "건국대학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만들기 연구소'에서 발행한 '행정복합도시 장애물 없는 도시·건축설계 매뉴얼'을 참고해 공사를 시행하고 있다"면서 "시각장애인 관련 단체의 자문은 구하지 않았고, 개선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반면 이후에 만난 세종사업본부 책임자는 "장애인들의 의견을 수렴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세종사업본부가 진행 중인 횡단보도 턱 낮추기 사업도 문제가 있었다. 점자블록은 턱 위에 잘 설치했지만, 횡단보도의 폭과는 무관하게 연석 경사로의 경사가 가파르고 좁아 휠체어 바퀴가 턱에 부딪쳐 넘어질 위험이 있다.
![]() |
▲보행안전구역 공사 모습. 양쪽 끝에 어두운색 대리석을 설치하고 있다. ⓒ박종태 |
![]() |
▲보행안전구역 공사 모습. 양쪽 끝에 어두운색 대리석을 설치하고 있다. ⓒ박종태 |
![]() |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3월 중증장애인들과 장애인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커뮤니티맵핑 제작에 나서 던 중 서소문 보행안전구역에 설치된 어두운색 대리석에 대해 시각장애인에게 도움이 안 된다고 말했다. ⓒ박종태 |
![]() |
▲세종사업본부가 진행 중인 횡단보도 턱 낮추기 사업도 문제가 있었다. 점자블록은 턱 위에 잘 설치했지만, 횡단보도의 폭과는 무관하게 연석 경사로의 경사가 가파르고 좁아 휠체어 바퀴가 턱에 부딪쳐 넘어질 위험이 있다. ⓒ박종태 |
![]() |
▲인도 턱 낮추기를 하려면 사진처럼. ⓒ박종태 |
![]() |
▲세종사업본부 담당자가 공사에 참고하고 있다고 밝힌 건국대학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만들기 연구소'에서 발행한 '행정복합도시 장애물 없는 도시·건축설계 매뉴얼' 표지. ⓒ박종태 |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박종태 기자 (so0927@chol.com)
없음
전체 검색 수 : 3207개 / 321 페이지 중 306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157 | 단원보건소, 편의시설도 관리도 ‘미흡’ | 편의증진센터 | 2012-02-16 | 7776 | |
156 | 촉감으로 느껴지는 도시건축 | 편의증진센터 | 2012-02-07 | 7124 | |
155 | 대전 복합터미널 편의시설 개선 시급 | 편의증진센터 | 2012-02-07 | 8254 | |
154 | 신한카드, 수화상담 서비스 시작 | 편의증진센터 | 2012-02-07 | 8995 | |
153 | 교통약자 이용 많은 노선에 ‘저상버스’ 집중 | 편의증진센터 | 2012-02-07 | 7380 | |
152 | 창원교통약자 콜택시 100대 시설공단에 위탁 운영 | 편의증진센터 | 2012-02-07 | 9797 | |
151 | 장애유형별 편의 고려한 ‘151번 버스’ | 편의증진센터 | 2012-02-07 | 7733 | |
150 | 제2차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 대대적 보완 필요 | 편의증진센터 | 2012-02-07 | 8853 | |
149 | ‘장애인행복서비스센터’ 설계 미비 | 편의증진센터 | 2012-01-30 | 7859 | |
148 | 탈바꿈한 1호선 의정부역 찾아가 보니 | 편의증진센터 | 2012-01-27 | 8007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