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항균 필름·무인 결제..."시각장애인에겐 소통 단절의 벽"
편의지원센터
2020-10-28
5840

[앵커]

코로나19 속에 더욱 힘겨운 이웃들을 돌아보는 연속 보도입니다.

무인결제시스템, 항균 필름.

코로나19 감염을 줄이기 위해 등장한 도구들이죠.

하지만 시각장애인들에게는 도리어 세상과 단절시키는 또 다른 벽이 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뭔지, '시각장애인의 날'을 맞아 엄윤주 기자가 찾아가 봤습니다.

[기자]
5년 전 갑작스럽게 질환을 앓다 시력을 잃은 최명애 씨.

장애인 지원센터 프로그램을 들으러 매주 춘천에서 서울까지 오는데 코로나19 사태 이후 지하철을 타는 게 더 힘들어졌습니다.

엘리베이터 버튼을 덮은 필름 때문입니다.

"아, 여기 점자가 있구나."

방역을 위해 요즘에는 엘리베이터마다 항균 필름이 붙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항균 필름은 시각 장애인들이 점자를 읽는데 방해물이 되기도 합니다.

[최명애 / 시각장애인 : 손끝으로 읽어야 하는데 표면 상태가 좀 거칠면 그게 점자인지 표면의 어떤 긁힘인지 헷갈리기 때문에….]

혼자 식당이나 카페를 가는 것도 망설여집니다.

명부 작성이나 QR코드 확인을 해야 하는데.

누군가 도와주지 않으면 글씨를 쓸 수도, 휴대전화 인증을 할 수도 없습니다.

"거주하고 계시는 곳 어딘가요? 춘천시 후평동."

시각장애인 장길수 씨는 무인 아이스크림 가게를 방문했다가 퍽이나 당황했습니다.

"이게 이렇게 어렵다고. 그러니까 안 와, 우리는."

바코드 인식부터 카드 결제까지 해야 하는데, 음성 안내 기능이 전혀 없었던 겁니다.

[장길수 / 시각장애인 : 집사람이 다 해줘서 나는 서 있으면 됐는데 내가 직접 해보니까 바코드 인식부터 카드 넣는 것도 힘들죠. 여기도 말로 (안내) 녹음한 것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전국에 등록된 시각 장애인은 25만여 명.

확진자 발생과 동선을 안내하는 긴급 재난 문자도 이들에겐 무용지물입니다.

휴대전화 음성 서비스로는 첨부된 링크를 누를 수도 없고, 홈페이지에 들어간다 해도 음성 안내 서비스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섭니다.

[오병철 / 시각장애인 : 확진자들이 어떤 지역에 갔다 왔다 (홈페이지에는) 나오지만 그런 것들이 문자로는 정확하지 않고 홈페이지를 들어가서 봐야 하는데 음성 안내 서비스로는 알 수 없거든요.]

방역을 위한 도구들이 장애인들에겐 소외감을 느끼게 하는 벽이 되고 있는 겁니다.

[김철환 /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 활동가 :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시각이나 청각, 발달 장애인분들이 어떻게 정보에 접근할 것인가, 공공 영역만이 아니고 민간 영역에서의 어떤 지원이라던가 규제 제도도 검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코로나19가 만든 비대면 시대, 누구나 차별 없이 정보를 이용하고 방역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세심한 제도와 장비를 마련해달라고 장애인들은 호소합니다. 

출처 : YTN 사이언스

해당 기사링크 :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key=202010151238363058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7개 / 321 페이지 중 78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2437 수원시, 기쁨 두 배 행정·촘촘한 서비스…민원인 웃음꽃 만발   편의지원센터 2020-07-29 6225
2436 주민 제안에 귀 기울이면 '다다익선'   편의지원센터 2020-07-23 6375
2435 인도위 불법 주·정차 여전하다   편의지원센터 2020-07-23 7224
2434 [르포]곳곳서 위험노출...시민안전 위협하는 하상도로   편의지원센터 2020-07-23 8188
2433 유성구·한밭대, 학생들의 아이디어로 ‘걷고 싶은 산책로’ 조성   편의지원센터 2020-07-23 5921
2432 장애인차별금지법 위반한 문화재 재건공사   편의지원센터 2020-07-23 7665
2431 순천, ‘유니버셜 디자인’ 취지 무색 장애인차별금지법 위반한 문화재 재...   편의지원센터 2020-07-23 6322
2430 [이동미, 열린관광지를 가다 ⑥] 바다 접근 데크 훌륭, 캠핑장 예약 시스템...   편의지원센터 2020-07-23 7424
2429 [영월소식]장애인 접근성 개선사업 대상시설 모집 등   편의지원센터 2020-07-16 6876
2428 방치된 '파손 보도블럭'에 장맛비 고여…시민들 불편 호소   편의지원센터 2020-07-16 6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