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고령화 영향 국민 10명중 3명은 '교통약자'…보행환경 개선 시급
편의지원센터
2021-06-11
2634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노인과 장애인을 포함하는 교통약자가 국내에 15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을 위한 이동편의시설은 교통수단 중에서는 여객선이, 시설별로는 버스 정류장이 가장 취약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도·육교 등 보행환경의 경우 교통약자는 물론 일반인에게도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9개 도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조사결과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의 교통약자는 전체인구 5183만명의 약 29.7%인 1540만명으로 집계됐다. 국민 10명 가운데 3명이 교통약자인 셈으로 교통약자는 1년 전에 비해 약 18만2000명 증가했다. 

교통약자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 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으로 교통약자법에 따라 별도 분류된다. 

교통약자 유형별로는 고령화 추세에 따라 65세 이상 고령자가 약 850만 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55.2%)을 차지했고, 어린이, 장애인, 영유아 동반자, 임산부 순으로 높았다. 

9개 도를 대상으로 장애인전용화장실, 휠체어 승강설비, 점자블록 등 이동편의시설의 기준 적합률을 조사한 결과 평균 기준 적합률은 72.1%로 나타났다. 직전 조사인 2018년에 비해 2.1%포인트 소폭 개선된 수치다. 도 지역 기준적합률은 2016년 67.3%, 2018년 70%였다. 

이를 대상별로 살펴보면, 버스·철도 등 교통수단의 기준 적합률이 76.5%로 가장 높았고, 여객시설 74.0%, 보도·육교 등 보행환경 65.9%로 순이었다. 교통수단별는 철도의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기준 적합률이 98.6%로 가장 높았고, 버스(88.4%), 도시·광역철도(86.6%), 항공기(73.7%), 여객선(35.4%) 순이었다. 시설별로는 공항의 시설 적합률이 가장 높았고, 버스정류장(34.6%)이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 내 이동 시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비교통약자, 교통약자 모두 버스, 도보이용(휠체어) 순이었으며, 이동편의시설 기준 적합률이 상승하면서 교통약자가 교통수단 탑승을 위해 대기해야하는 시간은 점차 짧아지고 있었다. 

지난해 교통약자의 탑승 대기시간 30분 이내는 47.6%로 2년 전 조사 때인 54.7% 보다 7.1%포인트 늘었다. 10분 이내는 32.3%에서 46.7%로 14.4%포인트 개선됐다. 

여객시설 및 교통수단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과 교통약자 1500명을 대상으로 이동편의시설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종합 만족도는 67.9점으로 2018년(67.0점) 대비 0.9점 상승했다. 

교통수단별로는, 항공기의 만족도가 78.6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철도(77점), 도시철도(74.4점), 고속·시외버스(71.2점), 시내버스(68.6점), 여객선(66.4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객시설 가운데는 공항터미널의 만족도가 78.9점으로 가장 높았고 도시철도역사(77.9점), 철도역사(76.3점), 버스정류장(72.1점), 여객자동차 터미널(70.9점), 여객선터미널(65.3점) 순으로 나타났다. 보행환경은 가장 만족도(64.7점)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명소 국토부 종합교통정책관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미흡한 사항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하여, 교통약자이동권이 제고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경향신문

해당 기사링크 :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2106101349001&code=920100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178개 / 318 페이지 중 45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2738 장애인종합복지공간 이룸센터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설치   편의지원센터 2021-06-16 3433
2737 대전 중구 대사동복합커뮤니티센터,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우수’등...   편의지원센터 2021-06-16 2884
2736 부산교통공사, 2021 부산국제철도기술산업전 참가   편의지원센터 2021-06-16 3191
2735 안승남 구리시장, '장애인 편의시설 점검단' 확대 운영   편의지원센터 2021-06-16 3413
2734 행안부 '주민 서비스 개선' 지자체-공공·민간 기관 협력 8개 사업 선정   편의지원센터 2021-06-11 3638
2733 비장애인 통행 불편하다고 '점자안내도' 치워버린 구청   편의지원센터 2021-06-11 3082
2732 광주 무장애 버스 정류소 확대 설치   편의지원센터 2021-06-11 3559
2731 고령화 영향 국민 10명중 3명은 '교통약자'…보행환경 개선 시급   편의지원센터 2021-06-11 2634
2730 충주시‧충주경찰서, 전동킥보드 계도   편의지원센터 2021-06-11 3368
2729 장애인, 횡단보도 ‘부분턱낮춤’ 진땀… 교통약자 안전 위협   편의지원센터 2021-06-11 3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