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저상버스 배차 간격 좁혀 주세요"...장애인들 대중교통 이용 힘들어
편의지원센터
2021-09-09
2328

천안시, 장애인을 위한 대중교통 개선 및 의료시설 확충 필요

 

 

b2848d384afa2d1f313282a2976a547c

연합뉴스 제공

 

천안시의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에 대해 절반 이상이 만족하는 가운데 대중교통 개선과 의료시설 확충 등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사회서비스원이 지난 6~7월 1186명을 대상으로 장애인 활동 지원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531명 중 177명이 '만족', 114명은 '매우 만족'으로 답해 전체 60.4%를 차지했다.

활동지원 서비스에 대해 만족하지 않은 응답자 35명 가운데 48.6%인 17명이 '서비스제공 시간이 적어서' 이어 17.1%인 6명은 '본인부담금이 부담되어서'로 답했다.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 필요사항으로는 1056명 중 424명이 '대중교통 이용 시 편의시설'로 꼽았으며 230명이 '건물 내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를 꼽았다.

확충이 필요한 시설로는 1080명 중 357명이 '사회복지시설'을, 292명 '편의시설', 207명 '교통시설(저상버스 등)' 순으로 요구했다.

이들의 외출 및 이동수단으로는 1103명 중 32.2%인 355명이 '자가용'으로 답한 반면 버스를 답한 응답자가 20.5%인 226명에 달하고 있어 교통시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62명 중 31.5%인 330명이 저상버스 배차 간격을 지적했으며 26.6%인 278명이 '버스 승강장의 접근성' 보완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장애인 인식개선 활동으로는 응답자 1158명 중 36.4%인 422명이 '인식개선'이 필요하다고 꼽았으며 29.4%인 340명은 '장애·비장애 통합프로그램 운영'을 선택했다.

또 응답자 1178명 중 26.4%가 삶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통 55.7%, 나쁨 이하 17.7%로 조사됐다.

응답자 356명 중 16.9%인 60명이 '장애인을 위한 검진시설 및 장비가 없어서' 건강검진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16.3%인 58명은 '경제적인 이유로'라고 답했다.

천안시가 우선해야 하는 사업으로 이들 응답자 1042명 중 319명이 '장애인 의료비 지원확대'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214명이 '종합병원 재활의학과·재활전문병원 확충'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종기 복지문화국장은 "천안시 장애인 생활실태와 욕구 조사 등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 중장기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장애인복지 사업을 내실 있게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출처 : 중도일보

해당 기사링크 : http://www.joongdo.co.kr/web/view.php?key=20210908010001753​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178개 / 318 페이지 중 32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2868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박미주 “우리도 출근하는 '같은' 사람 ...   편의지원센터 2022-01-21 2346
2867 고양시, 장애인 친화 관광지ㆍ음식점 114곳 지도로 제작   편의지원센터 2022-01-21 1662
2866 “법도 지을 돈도 없다”…경기도내 장애아동 놀이터 '단 2곳'   편의지원센터 2022-01-21 2334
2865 권승현 보령시의원 '무장애 투표소 확대' 법안 마련 건의   편의지원센터 2022-01-21 1991
2864 포항시, '배리어 프리' 도시 조성…장애인 복지 정책 확대   편의지원센터 2022-01-13 2428
2863 광주시선관위, 장애인 단체와 대선 투표소 편의시설 공동 점검   편의지원센터 2022-01-13 2172
2862 보행자 통행 방해하는 '널브러진 전동킥보드'   편의지원센터 2022-01-13 2361
2861 무관심에 시각장애인 위험 노출   편의지원센터 2022-01-13 1811
2860 충북 청주시, 사람 중심 스마트 도시 인프라 구축   편의지원센터 2022-01-13 2974
2859 인천 남동구 계단 없는 등산로 ‘만수산 무장애나눔길’ 열렸다   편의지원센터 2022-01-06 1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