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편의증진사 민간자격검정 첫 도약' 제1회 편의증진사 시험 치러져
편의지원센터
2021-10-29
1981

지장협 장애인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 최초 '편의증진사' 민간자격증 도입

장애인편의시설 분야와 종사자 전문성 강화… 수년 간 공들여 준비해 결실

안전위해 철저한 방역수칙 준수... "더 많은 정보 얻고 공부할 수 있어 보람"



지난 4월 10일 오후 2시 서울 영등포구 양화중학교에서 '제1회 편의증진사 민간자격검정'이 치뤄졌다. ⓒ소셜포커스

'제 1회 편의증진사 민간자격검정'이 성공적으로 치뤄졌다. 지난 10일(토) 오후 서울 영등포구 양화중학교에는 미래의 편의증진사를 꿈꾸는 이들의 발걸음이 분주했다.


올해 처음 신설된 '편의증진사 민간자격검정'은 1급부터 3급까지 총 252명이 응시했다. 지난해 11월 18일부터 11월 25일까지 총 297명이 접수했고, 안전에 유의해 시험 일자를 조율하여 올해 4월 첫 발을 내딛게 됐다. 

이번 시험을 주최ㆍ주관한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장애인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는 정부의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사전에 전 시험장 소독을 실시했다. 응시생의 사전 문진표 작성 및 발열 측정, 손소독제 사용, 마스크 상시 착용, 음료 반입 금지 등 체계적인 방역 시스템을 갖추어 시험을 진행했다.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 시험장 소독과 사전 문진표 작성 등 체계적인 방역 시스템 하에 진행했다. ⓒ소셜포커스

검정과목은 ▲장애인편의증진론(장애인등편의법, 주택법)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론(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장애인편의시설 관련 법의 이해(건축법, 장애인복지법,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 기타 장애인등 편의증진 관련 법률) 3분야로 나누어 진행됐다. 

장애인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 서울센터 이진섭 대리는 "1회 시험인데도 교문 입장부터 시험장 입실까지 체계적으로 방역 시스템이 마련되어 놀랐다. 굉장히 많은 걸 준비해주셨고 성공적으로 시험이 치뤄진 것 같다"며 "이번 시험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고 공부할 수 있어 보람찼다. 다음 시험이 열린다면 더 열심히 준비해서 좋은 결과를 내고 싶다"고 소감을 말했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 편의증진국 김원식 부장은 "올해는 첫 해이니만큼 운영상 미흡한 부분들도 있었는데, 2회 시험에는 이런 것들을 거울 삼아 더 많이 준비해 완벽한 체계를 갖춰나갈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응시자들이 고사장 배정표를 확인하고 있다. ⓒ소셜포커스

응시자들이 응시표 확인을 위해 줄지어 서있다. ⓒ소셜포커스

편의증진사 민간자격검정 시험을 치르기까지 순탄치만은 않았던 과정도 있었다. 장애인편의시설 분야와 종사자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오랜기간 고심하고 노력한 끝에 '편의증진사 민간자격검정' 시험이 탄생할 수 있었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 홍현근 사무총장의 이야기도 함께 들어봤다. 

■ 편의증진사 민간자격검정 시험 첫 회를 치르게 됐다. 소감이 어떠신지?  

감회가 새롭다. 장애인 편의 관련 업무에 종사한 지 20년이 됐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장애인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가 설립되기 전까지는 전문가가 없었기 때문에 비전문가인 공무원들이 전담해왔다. 그러나 장애인복지과나 사회복지과 직원들은 행정 업무를 주로 처리하는 것이지 장애인 편의시설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기는 어렵지 않았나 생각한다.

그러니 설계도와 도면을 보고 설치 기준대로 편의시설이 잘 반영되어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어려웠다. 제대로 검토가 되지 않은 채로 신축 허가를 내리니까 법률은 법률대로 편의시설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를 해놨는데, 현실에서는 실현이 안 되니 그 괴리감이 상당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런 문제들이 산적해서 장애인 이동권이나 접근성에 대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한 것이다.

■ 현재는 대행 기관 체제로 운영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맞다. 편의시설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장애 유형이 바로 지체장애인이다. 우리는 지체장애인을 대표하는 장애인 단체로서 당시 우리가 손을 쓰지 않으면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 정부에 심각성을 알리고 해결책을 강구해 왔다. 지난 2008년에 보건복지부 담당 사무관을 만나고 국회의원들을 만나면서 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자체 공무원들이 도맡아 하는 시스템이었으니 이걸 대행 기관 체제로 바꿔야 한다고 건의해서 법률 개정안이 올라가게 됐다.

물론 18대 국회 때는 해당 상임위원회에서 단 한 번도 검토되지 않은 채로 법안이 폐기되었던 아픈 기억도 있다. 19대 국회에 가서야 2014년 말에 대행 기관 체제 법률안이 통과될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 끝에 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가 2016년에 편의시설 적합성 확인 업무 대행 기관으로 선정되는 결실을 거두게 되었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 홍현근 사무총장한국지체장애인협회 홍현근 사무총장 ⓒ소셜포커스

■ 편의시설 기준적합성 업무를 보는 직원들의 전문성도 아주 중요한 것 같다.  

당연히 너무 중요하다. 대행 기관 제도를 만들기는 했는데 또 한편으로는 담당자들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도 큰 과제가 아니겠는가. 그래서 이 자격증 제도를 우리가 2008년부터 고심해왔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는 내부적으로 시험을 시행하기도 했다. ‘편의증진전문가자격시험’이라고 연 1회씩 진행했었다.

대행기관 체제의 법률안이 통과된 이후로는 본격적으로 민간자격검정을 실시하기 위한 일을 해왔다. 2017년부터 교육부 산하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민간자격증 등록 작업을 하게 됐다. 2019년에 내부 규정집을 발간하고, 관련 교육을 하고 시험문제를 만드는 등 꾸준히 작업을 해왔다. 

■ 이번 시험을 통해 바라는 점은? 

편의시설을 제일 많이 이용하는 이용자 단체로서의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기존에도 내부적으로 시험을 치러봤지만, ‘전문성’을 가진 시험으로는 이제 첫발을 뗀 것이다. 향후 편의시설 업무를 맡는 사람들, 즉 BF컨설팅이나 건축사, 편의적합성 업무 등 관련 모든 종사자가 더욱 전문성을 갖춰갈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또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장애인 문제는 장애인 단체가 나서야만 해결이 되는지 여전히 안타깝다. 전문가 양성은 국가에서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법률적인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면 대학에서도 교육 과정에 관련 수업을 넣어서 가르쳐야만 하는 것이다. 장애인 단체가 먼저 나서서 하기 전에 국가가 먼저 이런 자격증 제도에 대해서 고려하고, 장애인 단체에 지원해주는 등 장애인 편의증진 분야가 발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으면 좋겠다. 

지난 4월 10일 오후 2시 서울 영등포구 양화중학교에서 '제1회 편의증진사 민간자격검정'이 치뤄졌다. ⓒ소셜포커스

지난 4월 10일 오후 2시 서울 영등포구 양화중학교에서 '제1회 편의증진사 민간자격검정'이 치뤄졌다. ⓒ소셜포커스

출처 : 소셜포커스 

해당 기사링크 : https://www.social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86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174개 / 318 페이지 중 9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3094 국민권익위, 장애인·노인 안전 위해“인천광역시 횡단보도 경계석 턱낮품...   편의지원센터 2022-11-01 1457
3093 원주시는 장애인이 살만한 도시인가?   편의지원센터 2022-11-01 899
3092 점자블록 깔고 휠체어공간 열고... '차별의 벽' 허문 구글 새 사무실   편의지원센터 2022-11-01 633
3091 세종시, 인권 모니터링으로 인권기반 도시 실현   편의지원센터 2022-10-20 400
3090 김민석 의원, "영등포을 행정안전부 특별교부세 20억원 확정"   편의지원센터 2022-10-20 853
3089 전국 문예회관,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꽝’   편의지원센터 2022-10-20 828
3088 인도 '대형화분 붐' 이후…“보행권 침해” 철거 쩔쩔   편의지원센터 2022-10-20 691
3087 장애인에게 문턱 높은 부산국제영화제…아쉬움 남겨   편의지원센터 2022-10-20 718
3086 경계턱 없애고 진입로에 점자블록...용산가족공원 새 단장   편의지원센터 2022-10-20 360
3085 저시력 장애인에겐 버스타는 것도 '도전'...교통약자 앱 확대됐으면   편의지원센터 2022-10-20 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