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기대감 높아지는데…장애인은 '숙소 찾아 삼만리'
편의지원센터
2021-11-08
3178
[앵커]
단계적 일상회복, 이른바 위드 코로나로 전환되면서 여행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정작 장애인들은 그 기대감에서도 소외되고 있습니다.
장애인 편의시설을 갖춘 전용 숙소를 찾기가 쉽지 않은 데다 상당수 숙박업소가 번거롭다는 이유로 퇴짜를 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지은 기자가 동행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구 한 유명 호텔의 장애인 객실을 찾았습니다.
옷장이나 미니바는 손이 닿지 않아 무용지물이고,
["저한테는 에베레스트예요."]
화장실 역시 출입부터 이용까지 무엇 하나 만만치 않습니다.
시각 장애인 유도 블록은 군데군데 끊겨 있고, 점자 안내도는 작동조차 하지 않습니다.
["소리 안 나네요. 소리 나야 되는데."]
객실이 30개 이상인 숙박업소는 의무적으로 일정 비율 이상의 장애인 객실을 갖춰야 하지만, 실제 장애인 객실을 갖춘 업소는 전체의 79% 수준이고 시설도 열악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약도 쉽지 않습니다.
여행정보 플랫폼에서는 장애인 객실과 편의시설 여부조차 확인할 수 없고, 숙박업체에 직접 연락해도 퇴짜를 맞기 일쑤입니다.
[서준호/대구 장애인인권연대 대표 : "대놓고 '저 죄송한데 저희가 장애인 객실도 없고 안 오시는 게 더 좋을 것 같다'라고 하는 데도 있기도 있어요."]
장애인들의 여행 권리를 보장하는 법이 엄연히 있지만, 위반해도 처벌 조항이 없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입니다.
[조한진/대구대 장애학과 교수 : "어떤 법을 만들었다 하더라도 처벌 조항이 있지 않으면 그건 유명무실하거든요. 조례를 개정한다든지 혹은 제정한다는지 하는 노력도 지역에서 같이 (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정부 조사 결과 국민 10명 가운데 8명이 한 해 평균 다섯 번의 여행을 간 반면, 장애인 10명 가운데 7명은 단 한 번도 여행을 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단계적 일상회복, 이른바 위드 코로나로 전환되면서 여행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정작 장애인들은 그 기대감에서도 소외되고 있습니다.
장애인 편의시설을 갖춘 전용 숙소를 찾기가 쉽지 않은 데다 상당수 숙박업소가 번거롭다는 이유로 퇴짜를 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지은 기자가 동행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구 한 유명 호텔의 장애인 객실을 찾았습니다.
옷장이나 미니바는 손이 닿지 않아 무용지물이고,
["저한테는 에베레스트예요."]
화장실 역시 출입부터 이용까지 무엇 하나 만만치 않습니다.
시각 장애인 유도 블록은 군데군데 끊겨 있고, 점자 안내도는 작동조차 하지 않습니다.
["소리 안 나네요. 소리 나야 되는데."]
객실이 30개 이상인 숙박업소는 의무적으로 일정 비율 이상의 장애인 객실을 갖춰야 하지만, 실제 장애인 객실을 갖춘 업소는 전체의 79% 수준이고 시설도 열악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약도 쉽지 않습니다.
여행정보 플랫폼에서는 장애인 객실과 편의시설 여부조차 확인할 수 없고, 숙박업체에 직접 연락해도 퇴짜를 맞기 일쑤입니다.
[서준호/대구 장애인인권연대 대표 : "대놓고 '저 죄송한데 저희가 장애인 객실도 없고 안 오시는 게 더 좋을 것 같다'라고 하는 데도 있기도 있어요."]
장애인들의 여행 권리를 보장하는 법이 엄연히 있지만, 위반해도 처벌 조항이 없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입니다.
[조한진/대구대 장애학과 교수 : "어떤 법을 만들었다 하더라도 처벌 조항이 있지 않으면 그건 유명무실하거든요. 조례를 개정한다든지 혹은 제정한다는지 하는 노력도 지역에서 같이 (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정부 조사 결과 국민 10명 가운데 8명이 한 해 평균 다섯 번의 여행을 간 반면, 장애인 10명 가운데 7명은 단 한 번도 여행을 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출처 : KBS
해당 기사링크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17885&ref=A
없음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3201 | 무장애 관광 3법 통과로 시각장애인의 관광 기회 확대를 기대한다 | 시각편의센터 | 2025-03-31 | 56 | |
3200 | 2025년도 제1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 시각편의센터 | 2025-03-11 | 99 | |
3199 | 연구 뿐인 시각장애인 실내 보행 네비게이션, 상용화의 그날은 언제 | 시각편의센터 | 2025-01-10 | 293 | |
3198 | 진정한 의미의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기본법을 기대하며 | 시각편의센터 | 2025-01-10 | 241 | |
3197 | [홍보]2025년 센터 주요 사업 안내 | 시각편의센터 | 2025-01-06 | 233 | |
3196 | [인식개선, 뉴스]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각 도시철도 운영사와 차... | 시각편의센터 | 2024-12-23 | 180 | |
3195 | [인식개선, 뉴스]2024 17개 시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실무자 워크... | 시각편의센터 | 2024-12-23 | 241 | |
3194 | [인식개선, 이슈]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 필요 | 첨부파일 1개 있음 | 시각편의센터 | 2024-12-16 | 146 |
3193 | [인식개선, 이슈]화재 등 재난극복을 위한 시각장애인 자구책 마련 절실 | 시각편의센터 | 2024-12-13 | 154 | |
3192 | [인식개선, 이슈]시각장애인에겐 불편한 편의시설- 혼자서는 풀 수 없는 열... | 시각편의센터 | 2024-12-13 | 300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