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기대감 높아지는데…장애인은 '숙소 찾아 삼만리'
편의지원센터
2021-11-08
3181
[앵커]
단계적 일상회복, 이른바 위드 코로나로 전환되면서 여행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정작 장애인들은 그 기대감에서도 소외되고 있습니다.
장애인 편의시설을 갖춘 전용 숙소를 찾기가 쉽지 않은 데다 상당수 숙박업소가 번거롭다는 이유로 퇴짜를 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지은 기자가 동행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구 한 유명 호텔의 장애인 객실을 찾았습니다.
옷장이나 미니바는 손이 닿지 않아 무용지물이고,
["저한테는 에베레스트예요."]
화장실 역시 출입부터 이용까지 무엇 하나 만만치 않습니다.
시각 장애인 유도 블록은 군데군데 끊겨 있고, 점자 안내도는 작동조차 하지 않습니다.
["소리 안 나네요. 소리 나야 되는데."]
객실이 30개 이상인 숙박업소는 의무적으로 일정 비율 이상의 장애인 객실을 갖춰야 하지만, 실제 장애인 객실을 갖춘 업소는 전체의 79% 수준이고 시설도 열악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약도 쉽지 않습니다.
여행정보 플랫폼에서는 장애인 객실과 편의시설 여부조차 확인할 수 없고, 숙박업체에 직접 연락해도 퇴짜를 맞기 일쑤입니다.
[서준호/대구 장애인인권연대 대표 : "대놓고 '저 죄송한데 저희가 장애인 객실도 없고 안 오시는 게 더 좋을 것 같다'라고 하는 데도 있기도 있어요."]
장애인들의 여행 권리를 보장하는 법이 엄연히 있지만, 위반해도 처벌 조항이 없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입니다.
[조한진/대구대 장애학과 교수 : "어떤 법을 만들었다 하더라도 처벌 조항이 있지 않으면 그건 유명무실하거든요. 조례를 개정한다든지 혹은 제정한다는지 하는 노력도 지역에서 같이 (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정부 조사 결과 국민 10명 가운데 8명이 한 해 평균 다섯 번의 여행을 간 반면, 장애인 10명 가운데 7명은 단 한 번도 여행을 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단계적 일상회복, 이른바 위드 코로나로 전환되면서 여행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정작 장애인들은 그 기대감에서도 소외되고 있습니다.
장애인 편의시설을 갖춘 전용 숙소를 찾기가 쉽지 않은 데다 상당수 숙박업소가 번거롭다는 이유로 퇴짜를 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지은 기자가 동행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구 한 유명 호텔의 장애인 객실을 찾았습니다.
옷장이나 미니바는 손이 닿지 않아 무용지물이고,
["저한테는 에베레스트예요."]
화장실 역시 출입부터 이용까지 무엇 하나 만만치 않습니다.
시각 장애인 유도 블록은 군데군데 끊겨 있고, 점자 안내도는 작동조차 하지 않습니다.
["소리 안 나네요. 소리 나야 되는데."]
객실이 30개 이상인 숙박업소는 의무적으로 일정 비율 이상의 장애인 객실을 갖춰야 하지만, 실제 장애인 객실을 갖춘 업소는 전체의 79% 수준이고 시설도 열악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약도 쉽지 않습니다.
여행정보 플랫폼에서는 장애인 객실과 편의시설 여부조차 확인할 수 없고, 숙박업체에 직접 연락해도 퇴짜를 맞기 일쑤입니다.
[서준호/대구 장애인인권연대 대표 : "대놓고 '저 죄송한데 저희가 장애인 객실도 없고 안 오시는 게 더 좋을 것 같다'라고 하는 데도 있기도 있어요."]
장애인들의 여행 권리를 보장하는 법이 엄연히 있지만, 위반해도 처벌 조항이 없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입니다.
[조한진/대구대 장애학과 교수 : "어떤 법을 만들었다 하더라도 처벌 조항이 있지 않으면 그건 유명무실하거든요. 조례를 개정한다든지 혹은 제정한다는지 하는 노력도 지역에서 같이 (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정부 조사 결과 국민 10명 가운데 8명이 한 해 평균 다섯 번의 여행을 간 반면, 장애인 10명 가운데 7명은 단 한 번도 여행을 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출처 : KBS
해당 기사링크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17885&ref=A
없음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33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2881 | 법원 "300제곱미터 미만 편의점도 장애인 접근시설 설치해야" | 편의지원센터 | 2022-02-11 | 2595 | |
2880 | [목요세평] 저상버스가 과연 휠체어 장애인들에게만 편리할까? | 편의지원센터 | 2022-02-07 | 3434 | |
2879 | 예산군, 새해에도 장애인 복지 활성화 나선다 | 편의지원센터 | 2022-02-07 | 2720 | |
2878 | 천안시 본청 및 양구청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보완 요원 | 편의지원센터 | 2022-02-07 | 2836 | |
2877 | 전남도, 무장애 관광환경 조성 잰걸음 | 편의지원센터 | 2022-02-07 | 2879 | |
2876 | 김포시, 관내 시각장애인 보행권 실종 | 편의지원센터 | 2022-02-07 | 3166 | |
2875 | 인천 시각장애인, 시청 및 군·구청 이용 불편…편의시설 적정 설치율 고작... | 편의지원센터 | 2022-01-28 | 3179 | |
2874 | 강동구, 시각장애인 전용 쉼터 ‘행복나눔터’ 조성 | 편의지원센터 | 2022-01-28 | 3527 | |
2873 | 제주시, 파손된 볼라드 등 도로시설물 일제정비 추진 | 편의지원센터 | 2022-01-28 | 2707 | |
2872 | 세종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금강보행교 현장점검 실시 | 편의지원센터 | 2022-01-28 | 3043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