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교통약자 매년 느는데… 市 저상버스 보급률 '전국 최하위권'
편의지원센터
2021-12-06
2157

인천 이동환경 개선 ‘거북이 걸음’

인천지역 교통약자 수는 꾸준히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교통편의시설 설치율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제4차 인천광역시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안)’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해 1일 오후 3시 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공청회를 개최했다.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법에 따라 향후 5년간(2022~2026년)의 정책과제를 수립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발표된 계획안에 따르면 인천지역 교통약자(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어린이) 수는 매년 증가세를 기록했다. 2020년 말 기준 인천의 교통약자 인구는 88만2천여 명으로 전체 인구의 30%이다. 2016년 이후 매년 평균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령자와 장애인의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6.1%, 1.9%로 가장 많이 늘었다.

지난 5년간(2017~2021년) 업무 추진 결과 대다수의 교통수단이 이동편의시설 목표설치율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동편의시설 평균 설치율은 78%를 목표로 삼았으나 현재 조사 결과 62%에 그쳤다. 특히 여객터미널은 목표설치율 75%에 비해 43%만 달성했으며 여객선터미널은 58%(목표 80%), 버스정류장 37%(목표 65%)에 그치는 등 여객시설의 성과가 저조했다. 도로 또한 목표설치율 70%에 비해 48%에 그치면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인천시의 저상버스 보급률은 24.1%로 국가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의 목표치인 45%의 절반 수준이다. 특히 서울 57.8%와 대구 34.9%, 부산 27.3% 등 타 광역시와 비교했을 때 최하위권이다.

장애인 이동편의 제공을 위해 운영하는 휠체어 탑승 가능한 특별교통수단은 법정대수를 지키지 못했다. 보행상 중증장애인 150명당 특별교통수단을 1대씩 확보해야 하지만 인천은 169대를 운영 중으로 법정대수 253대에 비해 66.8%에 그친다.

이에 따라 시는 시민 모두가 편리한 이동환경 조성을 위해 8080정책을 목표로 삼는다. 현재 62%에 불과한 이동편의시설 기준 적합 설치율을 80%까지 향상하고, 시민들의 만족도 점수를 80점까지 높인다.

이를 위해 시는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 보행환경 ▶거버넌스 총 4개 부문을 구분해 31개 세부사업 계획을 수립했다. 세부사업은 저상버스 추가 도입과 특별교통수단 도입·운영, 버스정류장 이용환경 개선, 시각장애인 점자블록 개선, 교통약자이동편의기술지원센터 운영 등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시는 교통약자의 의견을 검토해 제4차 인천광역시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 최종안을 마련하겠다"며 "관계 기관과 협의하고 지방교통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계획을 확정 고시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출처 : 기호일보 

해당 기사링크 : 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7082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177개 / 318 페이지 중 32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2867 고양시, 장애인 친화 관광지ㆍ음식점 114곳 지도로 제작   편의지원센터 2022-01-21 1614
2866 “법도 지을 돈도 없다”…경기도내 장애아동 놀이터 '단 2곳'   편의지원센터 2022-01-21 2293
2865 권승현 보령시의원 '무장애 투표소 확대' 법안 마련 건의   편의지원센터 2022-01-21 1964
2864 포항시, '배리어 프리' 도시 조성…장애인 복지 정책 확대   편의지원센터 2022-01-13 2398
2863 광주시선관위, 장애인 단체와 대선 투표소 편의시설 공동 점검   편의지원센터 2022-01-13 2156
2862 보행자 통행 방해하는 '널브러진 전동킥보드'   편의지원센터 2022-01-13 2303
2861 무관심에 시각장애인 위험 노출   편의지원센터 2022-01-13 1792
2860 충북 청주시, 사람 중심 스마트 도시 인프라 구축   편의지원센터 2022-01-13 2948
2859 인천 남동구 계단 없는 등산로 ‘만수산 무장애나눔길’ 열렸다   편의지원센터 2022-01-06 1761
2858 [모든 일터에 제대로 된 휴게실을 ③] 장애인 노동자의 휴식권과 휴게시설   편의지원센터 2022-01-06 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