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학교 10곳 중 8곳은 장애인 편의시설의 법적 기준을 완벽하게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인천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학교에는 장애인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경사로·손잡이 등 매개시설을 비롯해 내부시설·위생시설·안내시설 4가지 분야의 11개의 의무시설과 4개 권장시설을 갖춰야 한다.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해 시교육청은 관련 법에 따라 학교가 장애인 편의시설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도·감독해야 하고, 예산 지원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시교육청이 지난해 10월 일선 학교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조사한 결과, 지역 내 초·중·고·특수 학교 544곳 중 ‘적정’ 평가를 받은 학교는 74곳에 불과했다. 나머지 470곳은 편의시설 중 최소 1개 이상은 ‘미흡’ 혹은 ‘미설치’ 평가를 받았다.
특히 학교들은 내부시설과 안내시설 분야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이 가장 낮았다. 내부시설에서는 조사대상 학교 중 374곳(68.7%)이 복도에 휠체어가 지나다닐 수 있도록 1.2m를 확보하지 않거나, 승강기와 휠체어 리프트를 마련하지 않는 등 법적 기준을 완벽하게 충족하지 못했다. 안내시설에서는 학교 368곳(67.6%)이 위급 상황에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및 피난 설비 등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
이와 함께 학교 330곳(60.6%)은 화장실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표지판이나 점형 블록이 없고, 소변기에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수평·수직 손잡이가 없는 등 기준 미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출입로의 경사도나 높이, 점자블록을 평가하는 매개시설은 학교 246곳(45.2%)이 법적 기준에 부족한 상태다.
이런데도 시교육청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와 개선에 대한 계획조차 마련하지 않고 있다. 장종인 인천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무국장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무장애 공간을 배워야 사회에 나가서도 무장애 공간이 기본이라는 인식을 할 수 있다”며 “편의시설 개선은 짧은 시간에 이뤄질 수 없어, 장기적인 계획은 필수적이다”고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올해 관련 계획을 마련한 뒤 빠르면 9월 추가경정예산, 또는 내년 본예산에 시설 개선을 위한 예산을 반영하겠다”고 했다.
출처 : 경기일보
해당 기사링크 :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20420580110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6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3051 | 대구 동구청, 25곳에 스마트 횡단보도 설치 | 편의지원센터 | 2022-09-07 | 1496 | |
3050 | KB·신한은행, 금융소외 빈틈 '꽉' 막는다…지역·장애인·노년층 지원 늘... | 편의지원센터 | 2022-09-07 | 2557 | |
3049 | 「다양성과 포용성을 위한 KAIST 선언문」 발표, 다양성 존중 의지 표현 | 편의지원센터 | 2022-09-07 | 1967 | |
3048 | 삼화페인트, 서울시각장애인복지관에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 도입 | 편의지원센터 | 2022-09-07 | 1926 | |
3047 | 황경아 의원 “대전시 공원, 무장애 친화형 전환 필요” | 편의지원센터 | 2022-09-07 | 2111 | |
3046 | 재건축 아파트에 입주한 시각장애인의 하소연 | 편의지원센터 | 2022-09-07 | 1471 | |
3045 | [현장, 그곳&] 보도 점령한 불법 적치물…보행자 안전 위협 | 편의지원센터 | 2022-08-25 | 2206 | |
3044 | 부산 1호 '배리어 프리' 분양 아파트, 에코델타시티에 탄생 | 편의지원센터 | 2022-08-25 | 2753 | |
3043 | [사설] 시각장애인 보행 안전을 보장하라 | 편의지원센터 | 2022-08-25 | 1291 | |
3042 | 문체부, 내년도 '열린 관광지' 공모…20곳 신규 선정 | 편의지원센터 | 2022-08-25 | 2114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