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인천 학교 대부분 장애인 편의시설 낙제점…계획조차 없어
편의지원센터
2022-04-22
2510

인천지역 학교 10곳 중 8곳은 장애인 편의시설의 법적 기준을 완벽하게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인천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학교에는 장애인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경사로·손잡이 등 매개시설을 비롯해 내부시설·위생시설·안내시설 4가지 분야의 11개의 의무시설과 4개 권장시설을 갖춰야 한다.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해 시교육청은 관련 법에 따라 학교가 장애인 편의시설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도·감독해야 하고, 예산 지원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시교육청이 지난해 10월 일선 학교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조사한 결과, 지역 내 초·중·고·특수 학교 544곳 중 ‘적정’ 평가를 받은 학교는 74곳에 불과했다. 나머지 470곳은 편의시설 중 최소 1개 이상은 ‘미흡’ 혹은 ‘미설치’ 평가를 받았다.

특히 학교들은 내부시설과 안내시설 분야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이 가장 낮았다. 내부시설에서는 조사대상 학교 중 374곳(68.7%)이 복도에 휠체어가 지나다닐 수 있도록 1.2m를 확보하지 않거나, 승강기와 휠체어 리프트를 마련하지 않는 등 법적 기준을 완벽하게 충족하지 못했다. 안내시설에서는 학교 368곳(67.6%)이 위급 상황에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및 피난 설비 등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

이와 함께 학교 330곳(60.6%)은 화장실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표지판이나 점형 블록이 없고, 소변기에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수평·수직 손잡이가 없는 등 기준 미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출입로의 경사도나 높이, 점자블록을 평가하는 매개시설은 학교 246곳(45.2%)이 법적 기준에 부족한 상태다.

이런데도 시교육청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와 개선에 대한 계획조차 마련하지 않고 있다. 장종인 인천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무국장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무장애 공간을 배워야 사회에 나가서도 무장애 공간이 기본이라는 인식을 할 수 있다”며 “편의시설 개선은 짧은 시간에 이뤄질 수 없어, 장기적인 계획은 필수적이다”고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올해 관련 계획을 마련한 뒤 빠르면 9월 추가경정예산, 또는 내년 본예산에 시설 개선을 위한 예산을 반영하겠다”고 했다. 

출처 : 경기일보

해당 기사링크 :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20420580110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23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2981 장애 의원 진입 후에야 허둥지둥... 근본 문제는 '편견'   편의지원센터 2022-06-07 2040
2980 점자 없어 남녀 구분 못해… 화장실 앞 막막한 시각장애인   편의지원센터 2022-06-07 3414
2979 아산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 '박차   편의지원센터 2022-06-03 2777
2978 [인천구의원 격전지⑦] 서구 바, 3‧4선 도전과 정치신인 등 6명 출마   편의지원센터 2022-06-03 2790
2977 서울관광재단, 관광편의시설 접근성 개선을 위해 최대 1천만원 지원   편의지원센터 2022-06-03 2467
2976 부산시, 투표소 73곳에 장애인 이동 편의시설 대폭 확충   편의지원센터 2022-06-03 2344
2975 해남시네마, '장애물 없는' BF인증   편의지원센터 2022-06-03 2906
2974 익산시, 문체부 주관 보석박물관 공공디자인 선정   편의지원센터 2022-06-03 3087
2973 김동진 단양군수 후보(민), '장애인 5대 공약' 발표   편의지원센터 2022-06-03 2110
2972 광교서 신사까지 42분…신분당선 강남~신사 구간 28일 개통   편의지원센터 2022-05-27 2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