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인천 학교 대부분 장애인 편의시설 낙제점…계획조차 없어
편의지원센터
2022-04-22
2515

인천지역 학교 10곳 중 8곳은 장애인 편의시설의 법적 기준을 완벽하게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인천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학교에는 장애인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경사로·손잡이 등 매개시설을 비롯해 내부시설·위생시설·안내시설 4가지 분야의 11개의 의무시설과 4개 권장시설을 갖춰야 한다.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해 시교육청은 관련 법에 따라 학교가 장애인 편의시설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도·감독해야 하고, 예산 지원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시교육청이 지난해 10월 일선 학교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조사한 결과, 지역 내 초·중·고·특수 학교 544곳 중 ‘적정’ 평가를 받은 학교는 74곳에 불과했다. 나머지 470곳은 편의시설 중 최소 1개 이상은 ‘미흡’ 혹은 ‘미설치’ 평가를 받았다.

특히 학교들은 내부시설과 안내시설 분야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이 가장 낮았다. 내부시설에서는 조사대상 학교 중 374곳(68.7%)이 복도에 휠체어가 지나다닐 수 있도록 1.2m를 확보하지 않거나, 승강기와 휠체어 리프트를 마련하지 않는 등 법적 기준을 완벽하게 충족하지 못했다. 안내시설에서는 학교 368곳(67.6%)이 위급 상황에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경보 및 피난 설비 등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

이와 함께 학교 330곳(60.6%)은 화장실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표지판이나 점형 블록이 없고, 소변기에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수평·수직 손잡이가 없는 등 기준 미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출입로의 경사도나 높이, 점자블록을 평가하는 매개시설은 학교 246곳(45.2%)이 법적 기준에 부족한 상태다.

이런데도 시교육청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와 개선에 대한 계획조차 마련하지 않고 있다. 장종인 인천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무국장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무장애 공간을 배워야 사회에 나가서도 무장애 공간이 기본이라는 인식을 할 수 있다”며 “편의시설 개선은 짧은 시간에 이뤄질 수 없어, 장기적인 계획은 필수적이다”고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올해 관련 계획을 마련한 뒤 빠르면 9월 추가경정예산, 또는 내년 본예산에 시설 개선을 위한 예산을 반영하겠다”고 했다. 

출처 : 경기일보

해당 기사링크 :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20420580110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24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2971 광명시, 선거전 투표소 인권영향평가…장애물·접근성 등 점검   편의지원센터 2022-05-27 1664
2970 맹학교 주변에도 뜯겨나간 점자블록 수두룩… 100m도 채 못 걷고 멈춰섰다   편의지원센터 2022-05-27 3314
2969 안양시, 안양역∼진흥육교·일번가몰 디자인 사업 적용 완료   편의지원센터 2022-05-27 2850
2968 “이동편의시설기술지원센터, 경기 전역으로 확대하라”   편의지원센터 2022-05-27 2398
2967 화장실은 '청소도구함' 거리는 '지뢰밭'…광주·전남 곳곳 장애인 배려 부...   편의지원센터 2022-05-27 2683
2966 [르포] 버스정보 점자 안내 전무…안내 버튼도 손 안 닿는 곳에   편의지원센터 2022-05-27 2189
2965 장애인 등 이동약자 편의증진 위한 ′편의증진의 날′ 지정 추진   편의지원센터 2022-05-19 2571
2964 점자블록 파손·표지판 미부착… 시각장애인 문턱 높은 경기도 ...   편의지원센터 2022-05-19 3566
2963 고려대, 장애 학생 위한 '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서비스' 시작   편의지원센터 2022-05-19 2346
2962 “교통약자 이동편의 예산 늘었다”… 추경안 국토위 통과   편의지원센터 2022-05-19 2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