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TTA, 시각장애인의 문화 시설 안내기기 표준화 추진
편의지원센터
2022-11-01
856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회장 최영해)는 ‘누구나’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문화 시설 관람을 위한 시각장애인용 안내기기 요구사항과 콘텐츠 제작 지침”의 연내 제정을 추진 중이라고 28일 발표했다.

현재 교통약자법 시행령에 따라 문화 시설에는 장애인을 위한 점자 안내판을 설치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문화 시설 관련 내용보다는 시설 내·외부의 위치 정보만이 철판에 촉지도의 형태로 나타나 있다. 또한 이용 가능 콘텐츠가 있는 경우에도 한 번 기록하게 되면 변경이나 수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현재 TTA에서 추진하고 있는 ‘문화 시설 관람을 위한 시각장애인용 안내기기 요구사항과 콘텐츠 제작 지침’이 마련되면, 기존 아날로그적인 관람 문화에서 벗어나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멀티모달 안내기기인 ‘인터랙티브 데스크’, 촉각 셀을 이용한 ‘키오스크’, 비컨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패드’ 등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관련 문화 시설의 사용과 콘텐츠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문화시설에 입장한 사용자는 입구의 키오스크에서 해당 시설 정보와 편의시설 위치를 안내받을 수 있으며 모바일패드를 통해 문화시설 내에서 원하는 목적지까지 실시간으로 길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인터랙티브 데스크로 전시물의 형태, 설명 문구 등의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이 표준을 통하여 시각장애인들의 문화 시설 및 공간 접근성을 강화하고 이동권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공연·전시 등에 대하여 비장애인과 동일하게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시각장애인들의 문화예술 관람 활동 등이 좀 더 활기를 띨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문화 시설 관람을 위한 시각장애인용 안내기기 요구사항과 콘텐츠 제작 지침”은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홀로그램연구센터, 주식회사 닷, 서울시각장애인협회, 나사렛대학교, 다차원영상기술표준화포럼이 제안해 TTA 디지털콘텐츠 프로젝트그룹(PG610)에서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김영민 책임이 주 에디터로 제정을 추진 중이다.

디지털콘텐츠 프로젝트그룹(PG610)에서는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스코넥엔터테인먼트, 시루정보, 엘지유플러스 등 17개의 산학연이 활동하고 있다.

한편, TTA는 국내 ICT 및 ICT융합 분야의 대표적인 표준제정기구이며 자세한 정보는 TTA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아이뉴스24

링크: TTA, 시각장애인 문화시설관람 편의 안내기기 표준화 추진 (inews24.com)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178개 / 318 페이지 중 4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3148 철저한 비장애인 위주 환경 ··· 눈을 감아야 보이는 현실   편의지원센터 2023-01-13 998
3147 '시각장애인의 지뢰' 볼라드…"설치규정 안지켜 보행 위협"   편의지원센터 2023-01-13 1121
3146 [현장] “말 바꾸는 수원시의회 정말 실망”…'주민참여예산' 삭감에 주민...   편의지원센터 2022-12-28 759
3145 광주경찰서, 광주역세권공영주차장 범죄예방 우수시설 인증   편의지원센터 2022-12-28 758
3144 [눈이 두려운 사람들-시각장애인] 빙판길 미끄러질라 “벽 잡고 걸어요”   편의지원센터 2022-12-28 1627
3143 무장애 도시 향해 발걸음 내딛는 부천시…'차별의 장벽 허문다'   편의지원센터 2022-12-22 611
3142 울산 시각장애인 '이동권 보장' 갈 길 멀다   편의지원센터 2022-12-22 1056
3141 경기R&D센터 스테인리스 점자블록 수두룩 안전 위협   편의지원센터 2022-12-22 482
3140 “초등생·장애인 안전 위한 건데, 정말 불필요한 예산입니까?”   편의지원센터 2022-12-22 1000
3139 ‘유니버설디자인 온라인 가상체험관’ 살펴보기   편의지원센터 2022-12-16 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