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병원·공공기관 장애인 편의시설 여전히 미흡"
편의증진센터
2013-05-15
8075

| 기사입력 2013-05-14 16:37

 

시각장애인연합회, 주요 8개 시설 현장 평가결과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된 지 5년이 지났지만 국내 주요 병원과 공공시설의 장애인 편의 수준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산하 시각장애인편의증진센터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인천국제공항,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대학교병원, 국민연금공단 등 8곳을 대상으로 장애인차별금지법상의 '정당한 편의' 규정에 대한 준수 여부를 현장 조사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14일 밝혔다.

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경우 주출입구에 규격이 맞지 않는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었고, 점자안내판은 상시 이용할 수 있는 곳이 아닌 격리된 곳에 있었다.

차량통행이 잦은 인천국제공항은 음향신호기가 화단 속에 있거나 음향신호기 근처에 장애물이 있어 시각장애인의 보행 특성상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주출입구에 설치된 음성신호장치(음성유도기)가 동작조차 하지 않았고, 점자안내판은 아예 설치돼 있지 않았다.

삼성서울병원은 승강기에 점자표지판이 설치돼 있지 않아 시각장애인의 시설이용에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돕기 위해 설치된 점자블록의 재질이 오히려 미끄럼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서울아산병원은 접근로 주위에 보행장애물이 있어 시각장애인의 보행시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또 주출입구까지 설치된 점자블록이 폐문으로 유도하고 있어 사고 위험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서울대학교병원 역시 점자블록이 폐문으로 유도해 사고 위험이 컸으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안내판, 음성유도기가 전혀 설치돼 있지 않았다.

시각장애인연합회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 사용된 점검표와 지침은 권장 차원이 아니라 편의증진법과 교통약자법에서 의무적으로 준수하도록 정한 사항"이라며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된 지 5년이 지났지만 우리나라 주요 시설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수준이 이 정도라는 점은 법 제정의 의의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259370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3201 무장애 관광 3법 통과로 시각장애인의 관광 기회 확대를 기대한다   시각편의센터 2025-03-31 107
3200 2025년도 제1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시각편의센터 2025-03-11 134
3199 연구 뿐인 시각장애인 실내 보행 네비게이션, 상용화의 그날은 언제   시각편의센터 2025-01-10 326
3198 진정한 의미의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기본법을 기대하며   시각편의센터 2025-01-10 278
3197 [홍보]2025년 센터 주요 사업 안내   시각편의센터 2025-01-06 276
3196 [인식개선, 뉴스]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각 도시철도 운영사와 차...   시각편의센터 2024-12-23 198
3195 [인식개선, 뉴스]2024 17개 시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실무자 워크...   시각편의센터 2024-12-23 255
3194 [인식개선, 이슈]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 필요 첨부파일 1개 있음 시각편의센터 2024-12-16 162
3193 [인식개선, 이슈]화재 등 재난극복을 위한 시각장애인 자구책 마련 절실   시각편의센터 2024-12-13 174
3192 [인식개선, 이슈]시각장애인에겐 불편한 편의시설- 혼자서는 풀 수 없는 열...   시각편의센터 2024-12-13 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