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공공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미흡
편의증진센터
2013-10-01
7158

 박성호의원, 국립중앙도서관 자료분석
2013.10.01 00:00 입력

 

경남도내 공공도서관 중 장애인 자료실과 장애인 코너를 설치한 곳이 각각 17%에 그쳐 도서관 내 장애인 서비스에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박성호(창원 의창구) 의원이 30일 국립중앙도서관의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통계·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남지역 공공도서관 58곳 중 장애인 자료실과 장애인 코너를 설치한 곳이 각각 10곳에 불과했다.

도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자료실 설치비율은 전국 평균 9.9%에 비해 높았지만 장애인 코너 설치비율은 전국 평균 22.5%에 비해 낮았다.

도내 18개 시·군 중 장애인 자료실이 설치된 지역은 창원이 5곳(창원도서관, 성산도서관, 상남도서관, 의창도서관, 고향의봄도서관)으로 제일 많았으며 김해 2곳(김해도서관, 진영도서관), 밀양(밀양시립도서관)·거창(거창군립한마음도서관)·남해(화전도서관) 각 1곳이었다.

장애인 코너 설치 공공도서관은 창원(마산도서관, 마산합포도서관)과 양산(양산웅상도서관, 양산도서관) 각 2곳, 거제(거제도서관)·김해(김해시립화정글샘도서관)·밀양(밀양도서관)·의령(의령도서관)·진주(진주서부도서관)·함양(함양도서관) 등 각 1곳이었다.

전국에 39곳이 있는 시각장애인 도서관은 도내에 1곳에 불과(경남점자정보도서관)했으며, 전국에 5곳인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청각장애인복지관은 한 곳도 없었다. ‘도서관법 제43조’에는 도서관은 모든 국민이 신체적·경제적·사회적 여건에 관계없이 공평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받는 데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박 의원은 “도서관법에 모든 국민이 신체적 여건에 관계없이 공평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필요한 모든 조치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음에도 장애인 서비스가 미흡한 실정”이라며 “장애인들이 도서관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세심한 배려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응삼 기자 keungsam@gnnews.co.kr 

 

관련기사

http://gnnews.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3&item=22&no=184980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264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571 장애인이 직접 지하철 편의시설 점검해 미비점 고친다   편의증진센터 2013-11-28 7244
570 '시각장애인들 공포의 대상'…차량 진입 막으려고 세웠는데..   편의증진센터 2013-11-28 7274
569 분당선 4개 신규역사 장애인 편의시설 점검   편의증진센터 2013-11-28 7545
568 볼라드에 ‘쾅’ 지자체 배상 판결 “의미 크다”   편의증진센터 2013-11-28 6691
567 “성당과 주요기관에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해야”   편의증진센터 2013-11-28 6416
566 장애물없는 대전 동구신청사 장애인편의 점검   편의증진센터 2013-11-28 6634
565 신경주역 장애인 편의 ‘반쪽짜리 개선’   편의증진센터 2013-11-18 7136
564 반드시 편의시설에 장애인당사자 검증 있어야   편의증진센터 2013-11-15 8705
563 경주 장애인단체, 동궁원 장애인편의에 ‘불만’   편의증진센터 2013-11-15 6552
562 부산장애인들 숙원 '부산장애인종합회관 개관'   편의증진센터 2013-11-14 7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