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국민 4명 중 1명 교통약자, 항공·철도 복지수준↑
편의증진센터
2014-02-12
6475

 교통복지 경기도 '으뜸', 경북 '꼴찌'
기사입력 : 2014년02월11일 15시12분
 
(아시아뉴스통신=김하영)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교통약자의 이동권 확보를 위해 특별교통수단인 하모니콜택시를 이용하고 있는 모습./아시아뉴스통신DB

 

 우리나라 인구 가운데 4명 중 1명은 교통약자로 나타났다.

 10개 시·도 가운데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복지 수준은 경기도가 가장 높고 경북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은 항공과 철도 부문에서 법적 기준에 가장 적합하게 설치됐으며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10개 시·도(9개도 및 세종특별자치시)를 대상으로 실시한 올해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2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교통약자 인구는 전체인구의 약 24.8%인 1263만 명 수준으로 2011년에 비해 22만 명이 증가했다.

 교통약자 유형별로는 고령자(65세 이상)가 598만 명(47.3%)으로 가장 많고 어린이와 장애인은 각각 235만 명(18.6%), 150만 명(11.9%)인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보행환경)를 대상으로 한 이동편의시설의 기준적합 설치율은 64.8%로 지난 2011년 62.8%에 비해 2% 증가했다.

 

 

 지하철 9호선 매표소에 시각장애인 음성유도기를 설치한 사례 모습./아시아뉴스통신DB

 

 교통수단별로는 항공기(98.1%)가 가장 높고 철도(93.2%), 버스(81.5%) 순이었으며 노후 선박이 대부분인 여객선의 기준적합 설치율은 16.7%로 매우 낮았으며 지난 2011년에 비교하면 전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객시설별로는 공항(74.9%)이 가장 높고 철도역사(74.0%), 여객선터미널(63.3%) 순이었으며 교통약자의 이용률이 가장 높은 버스(25.6%)관련 여객시설인 여객자동차터미널(51.4%), 버스정류장(32.7%)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돼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보행환경)를 대상으로 한 이동편의시설의 만족도는 60점으로 지난 2011년도 58점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교통수단별로는 항공기의 만족도가 68점으로 가장 높았고 버스·여객선은 낮으며(56점, 58점), 여객시설별로는 공항의 만족도가 66점으로 가장 높았고 버스터미널과 여객선터미널은 56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10개시·도를 대상으로 교통수단 및 여객시설 기준적합 설치율, 저상버스 보급률, 특별교통수단 보급률 등 9개 평가기준에 의한 교통복지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경기▶경남▶충남▶강원▶충북▶전남▶전북▶세종▶제주▶경북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통약자 보호를 위해 '어린이 승.하차 보호기 천사의 날개-1004개' 모습./아시아뉴스통신DB

 

 경기도는 여객시설 기준적합 설치율과 특별교통수단 운행률이 최하위 수준으로 평가됐으나 접근로 보행환경, 보행자 사고율, 고령자 및 어린이 사고율, 교통수단 기준적합 설치율과 교통복지행정에서 1·2위를 차지해 10개 시·도 중 교통복지 수준이 가장 높게 평가됐다.

 반면 경상북도는 저상버스보급률과 교통복지행정이 최하위였으며 그 외 지표도 대부분이 중하위권으로 지난 2011년에 이어 교통복지수준이 최하위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교통약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 미흡한 사항에 대해서는 지자체 및 관련 기관에 시정을 요구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613819&thread=09r02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178개 / 318 페이지 중 252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668 ‘나라장터 엑스포’ 속 장애인 편의시설 제품   편의증진센터 2014-04-07 6001
667 사파공동·가좌동성당 장애인 편의 ‘열악’   편의증진센터 2014-04-04 5449
666 건축·산업기사 시험에 장애인편의시설 부재   편의증진센터 2014-04-04 5222
665 경기 일선학교 점자안내판 설치 ‘생색내기’   편의증진센터 2014-04-04 5452
664 제주 김가량·애월성당 장애인 편의 이래서야   편의증진센터 2014-04-04 6478
663 장애인 이용 불편한 KBS제주방송총국   편의증진센터 2014-04-02 5816
662 장애인편의시설 반영, 건축·산업기사 시험 모색   편의증진센터 2014-04-02 5938
661 세종시청 장애인 편의 불편해도 ‘참아라’   편의증진센터 2014-03-31 5153
660 광주광역시, 시각장애인 위한 점자 노선안내   편의증진센터 2014-03-26 5688
659 [기고] 계단 손잡이 더럽고 껌도 있어   편의증진센터 2014-03-26 6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