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전남 장애인 편의시설 여전히 부족…설치율 64%
편의증진센터
2014-03-10
5790

 

적정 설치율도 51% 불과, "장성군 가장 열악"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4-03-09 09:00:09

 

 

(무안=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 전남지역에서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제대로 갖춘 건물이나 공공시설물이 10곳 중 6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설치된 곳도 규정에 맞는 적정 설치율은 절반에 그쳤다. 장애인 편의시설 절반이 형식적으로 설치만 됐지 무용지물에 가깝다는 뜻이다.

9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 일선 시군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조사 결과 대상 편의시설 40만4천951곳 중 26만484곳이 설치돼 64.3%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 67.9%보다 3.6% 포인트 낮다.

이들 시설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승강기, 경사로, 유도등 등이며 관련법(장애인, 노인 편의시설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시군 중 담양군이 70.5%로 가장 높았고 장성군은 49.8%로 가장 낮았다.

50%대에 그친 지자체는 구례(53.6%), 고흥(56.9%), 강진(57.8%), 신안(59%), 함평(59.3%) 등이다.

경사로 각도 등 규정을 지킨 이른바 적정 설치율은 51.9%에 그쳤으며 목포시가 57.2%로 최고를, 장성군이 42.5%로 최저를 기록했다.

종류별 설치율은 복도, 계단, 승강기 등 내부시설이 79.7%였으며 유도 및 안내설비, 점자블록 등 내부시설은 33.8%만이 설치되는 데 그쳤다.

화장실, 욕실 등 위생시설 설치율은 45.7%, 주차구역 표시 등 매개시설은 64.5%, 객실과 침실, 열람석 등 기타시설은 86.7%였다.

여기에 규정을 제대로 지킨 적정 설치율은 51.9%에 그쳐 전체 설치율보다 12.4%포인트나 낮았다.

출입구에 설치한 경사로나 손잡이가 제역할을 못하거나 점자블록, 유도로 등이 잘못 설치된 사례 등이 적지 않다.

건물 유형별(22개群)로 보면 관광 휴게시설 설치율이 67.6%로 가장 높았다.

공장이 38.7%로 10곳 중 겨우 4곳 정도만이 설치됐으며 노유자시설, 묘지관련 시설, 장례식장 등은 50%대 이하로 낮은 설치율을 보였다.

지난 2008년 전수조사때와 설치율을 비교(동일항목만 비교분석)하면 70.8%에서 76.7%로 5.9%포인트 높아졌다.

전남도 관계자는 "5년 만에 이뤄진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각 지자체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확보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nicepen@yna.co.kr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연합뉴스 (www.yna.co.kr)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178개 / 318 페이지 중 260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588 서러운 휠체어 장애인..."청소년시설이 기가 막혀"   편의증진센터 2013-12-11 6325
587 2% 부족한 장애인편의 외면 ‘국립세종도서관’   편의증진센터 2013-12-11 5701
586 대전맹학교, 장애인용 음향시설 갖춘 체육시설 완공   편의증진센터 2013-12-09 5461
585 분당선 죽전역 부근 시각장애인 안전 ‘위협’   편의증진센터 2013-12-09 5434
584 지방 지하철 역 장애인 편의 ‘한숨 뿐’   편의증진센터 2013-12-09 6259
583 장애인 편의 뒷전인 ‘하늘의 문 성당’   편의증진센터 2013-12-06 6107
582 시각장애인 출입 불편 부천터미널소풍   편의증진센터 2013-12-06 6660
581 ‘아름다운 화장실’ 금상, 장애인 불편도 금상   편의증진센터 2013-12-05 5501
580 서울시, 제각각 보도턱 1cm로 낮췄다   편의증진센터 2013-12-04 5971
579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영예, 장애인 편의는?   편의증진센터 2013-12-04 5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