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전남 장애인 편의시설 여전히 부족…설치율 64%
편의증진센터
2014-03-10
5782

 

적정 설치율도 51% 불과, "장성군 가장 열악"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4-03-09 09:00:09

 

 

(무안=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 전남지역에서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제대로 갖춘 건물이나 공공시설물이 10곳 중 6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설치된 곳도 규정에 맞는 적정 설치율은 절반에 그쳤다. 장애인 편의시설 절반이 형식적으로 설치만 됐지 무용지물에 가깝다는 뜻이다.

9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 일선 시군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조사 결과 대상 편의시설 40만4천951곳 중 26만484곳이 설치돼 64.3%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 67.9%보다 3.6% 포인트 낮다.

이들 시설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승강기, 경사로, 유도등 등이며 관련법(장애인, 노인 편의시설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시군 중 담양군이 70.5%로 가장 높았고 장성군은 49.8%로 가장 낮았다.

50%대에 그친 지자체는 구례(53.6%), 고흥(56.9%), 강진(57.8%), 신안(59%), 함평(59.3%) 등이다.

경사로 각도 등 규정을 지킨 이른바 적정 설치율은 51.9%에 그쳤으며 목포시가 57.2%로 최고를, 장성군이 42.5%로 최저를 기록했다.

종류별 설치율은 복도, 계단, 승강기 등 내부시설이 79.7%였으며 유도 및 안내설비, 점자블록 등 내부시설은 33.8%만이 설치되는 데 그쳤다.

화장실, 욕실 등 위생시설 설치율은 45.7%, 주차구역 표시 등 매개시설은 64.5%, 객실과 침실, 열람석 등 기타시설은 86.7%였다.

여기에 규정을 제대로 지킨 적정 설치율은 51.9%에 그쳐 전체 설치율보다 12.4%포인트나 낮았다.

출입구에 설치한 경사로나 손잡이가 제역할을 못하거나 점자블록, 유도로 등이 잘못 설치된 사례 등이 적지 않다.

건물 유형별(22개群)로 보면 관광 휴게시설 설치율이 67.6%로 가장 높았다.

공장이 38.7%로 10곳 중 겨우 4곳 정도만이 설치됐으며 노유자시설, 묘지관련 시설, 장례식장 등은 50%대 이하로 낮은 설치율을 보였다.

지난 2008년 전수조사때와 설치율을 비교(동일항목만 비교분석)하면 70.8%에서 76.7%로 5.9%포인트 높아졌다.

전남도 관계자는 "5년 만에 이뤄진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각 지자체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확보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nicepen@yna.co.kr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연합뉴스 (www.yna.co.kr)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178개 / 318 페이지 중 263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558 안산시 문화복지위원장, 장애인들에게 ‘원성’   편의증진센터 2013-11-11 6555
557 수원지방법원 장애인 편의시설 곳곳이 문제   편의증진센터 2013-11-11 5778
556 서울시 보도블록 감사 46곳서 부실공사 적발   편의증진센터 2013-11-06 5747
555 안산 농협사거리 사고 위험 볼라드 ‘수두룩’   편의증진센터 2013-11-06 5891
554 장애인편의 기준 될 만한 ‘상록장애인복지관’   편의증진센터 2013-11-06 6871
553 시각장애인 볼라드에 ‘쾅’, 손배소 일부승소   편의증진센터 2013-11-06 5681
552 ‘장애인 차별금지법’ 이행, 모니터링 없이 변화는 없다   편의증진센터 2013-10-25 6304
551 수성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 도입 추진   편의증진센터 2013-10-25 5505
550 장애 가진 북한이탈주민 울리는 ‘하나원’   편의증진센터 2013-10-25 5336
549 환풍구에 가로막힌 ‘장애인 이동권’ 개선   편의증진센터 2013-10-24 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