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14.03.12 (19:24)
수정2014.03.12 (20:24)
뉴스 7 2014.03.12
<앵커 멘트>
횡단보도에는 시각 장애인들에게 건넘 신호를 알려주는 '음향 신호기'가 설치돼 있습니다.
그런데 상당수의 음향 신호기가 고장나있고, 또 적색신호인데도 건너가라는 신호음을 내는 곳까지 있었습니다.
임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각 장애인이 음향신호기를 아무리 눌러도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또 다른 음향신호기, 빨간 신호에 차들이 오가는 데도, 건너가도 좋다는 신호음이 나옵니다.
안전을 위한 시설이 오히려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것입니다.
<인터뷰> 박성수(시각장애인 1급) : "교통신호음은 시각장애인들에 있어서는 생명의 소리입니다. 차라리 소리가 안나주는게 더 나은 경우가 있고요."
취재진이 춘천시내 음향신호기가 설치된 26곳을 확인해보니 9곳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이 음향신호기의 경우에는 이렇게 화단을 지나서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설치돼 있습니다. 따라서 작동 리모컨이 없을 경우 시각 장애인들의 이용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춘천시는 상황파악조차 안하고 있습니다.
<녹취> 담당 공무원 : "그거는 따로 저희가...현재 상황의 예산부분이 그러니까 아직 사실은..."
음향 신호기가 설치된 곳은 전국 횡단 보도 8만여 곳의 11%인 9천 곳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이판구(시각장애인 사무처장) : "시내 중심부쪽에는 대부분 설치돼 있지만 외곽도로 쪽에는 아직 설치 안 된 곳이 있는것 같습니다."
그나마 설치돼 있는 음향 신호기마저 방치되면서, 시각 장애인들이 위험한 도로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관련뉴스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825163&ref=A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259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621 | 여전히 개선 없는 세종시의 ‘보행안전구역’ | 편의증진센터 | 2014-01-27 | 5952 | |
620 | 복지부 이전 정부세종청사 장애인 편의 ‘눈살’ | 편의증진센터 | 2014-01-27 | 6678 | |
619 | BF최우수등급 송원초등학교 장애인편의 부족 | 편의증진센터 | 2014-01-24 | 7151 | |
618 | 무늬만 '광주 교통약자 전용 정류소' | 편의증진센터 | 2014-01-23 | 7541 | |
617 | 넘치는 광고판에 안내판은 부족 | 편의증진센터 | 2014-01-23 | 6414 | |
616 | [J신문고] 무심코 걷다 꽈당 … 돌 말뚝 사람 잡을라 | 편의증진센터 | 2014-01-22 | 6861 | |
615 | 세종 복합커뮤니티센터 시각장애인 안전 사각 | 편의증진센터 | 2014-01-21 | 7475 | |
614 | 카툰으로 본 장애차별적 '장애인편의시설' | 편의증진센터 | 2014-01-21 | 7487 | |
613 | 세종도서관 장애인편의 개선, 여전히 ‘미흡’ | 편의증진센터 | 2014-01-16 | 6693 | |
612 | 삼각지역에 '지하철 노선 촉지도' 설치 | 편의증진센터 | 2014-01-16 | 6747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