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경춘선 복선전철 전 역사 편의시설 점검
시각보조시설
2010-12-30
6969

 서울∼춘천을 잇는 경춘선 복선전철이 지난 21일 개통했다. 지난 1997년 경춘선의 복선화사업이 시작된 지 꼭 13년만이다.

경춘선 복선전철은 중랑구 상봉동에서 춘천까지 81.3㎞에 달한다. 전철요금은 비장애인은 춘천까지 2500원이며, 장애인은 무료다.

상봉-망우-신내-갈매-별내-퇴계원-사릉-금곡-평내호평-묵현-마석-대성리-청평-상천-가평-굴봉산-경강-백양리-강촌-김유정-남춘천-춘천까지 22개 역사가 있다. 이중 신내·별내역은 현재 미개통 상태이며, 상봉·갈매역은 새로 건립됐다. 나머지 역은 리모델링했다.

경춘선 상봉역에선 지하철 7호선, 중앙선(용산~청량리~용문)으로 갈아탈 수 있다. 망우역에서도 중앙선으로의 환승이 가능하다.

지난 20일 갈매역과 상봉역을 찾아 장애인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지 편의시설을 점검한 결과 스크린도어 미설치, 용변기 손잡기 거꾸로 설치 등 개선점이 수두룩하게 나왔다.

이에 따라 미개통된 신내·별내·묵현역 등 3개 역을 제외하고 망우-퇴계원-사릉-금곡-평내호평-마석-대성리-청평-상천-가평-굴봉산-백양리-강촌-김유정-남춘천-춘천역 등 16개 역사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지난 21일과 22일 점검했다.

점검 결과 공통적으로 장애인들이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고정형 휠체어리프트가 없어 가장 반가웠고, 장애인화장실은 자동문으로 남녀 구분돼 설치돼 있었다. 또한 맞이방 개찰구는 잘 설치돼 있었으며, 휠체어 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교통카드를 대는 곳의 높이가 낮았다.

반면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돼 있지 않았으며 장애인화장실, 점자유도블록 설치 등 개선해야할 문제점들이 눈에 띄었다. 여기에 보건복지부 및 국토해양부가 만든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인증’을 받은 역사가 한곳도 없다는 것에 아쉬움이 남았다.

망우역=화장실 입구에 장애인화장실을 알리는 마크가 없었다. 장애인화장실에는 비상호출 통화 장치 및 휴지걸이가 조금 떨어져 설치돼 있어 중증장애인이 사용하기에 불편했다. 세면대 수도꼭지도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로의 교체가 필요해 보였다. 센서는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되지 않는 상태로 변기뚜껑 철거 후 등받이를 설치해야 중증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비장애인화장실 입구에 설치돼 있지 않았으며, 장애인화장실 앞에 설치된 점자유도블록은 잘 못 설치돼 있었다. 시각장애인들은 비장애인화장실을 이용한다.

퇴계원역=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에게 역사를 안내할 목적으로 부식형 촉지도가 설치돼 있었다. 하지만 손으로 읽기가 불편, 반구형으로 교체돼야 한다.

장애인화장실에는 비상호출 통화 장치 제대로 설치돼 있었지만 휴지걸이가 없었고, 핸드드라이기가 너무 낮게 설치돼 있어 휠체어장애인들이 출입할 때 부딪칠 위험이 있었다. 세면대 수도꼭지도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를 설치를 해야 하지만 설치가 돼 있지 않았다. 센서는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되지 않는 상태로 변기뚜껑 철거 후 등받이를 설치해야 중증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릉역=지하통로에서 맞이방으로 올라오는 계단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돼 있어 긍정적 이었다.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비장애인화장실 입구에 설치돼 있지 않았으며, 장애인화장실 앞에 설치된 점자유도블록은 잘 못 설치돼 있었다. 시각장애인들은 비장애인화장실을 이용한다.

여성 장애인화장실에는 휴지걸이, 비상호출통화 장치가 조금 떨어져 설치돼 있었다. 또한 남자 장애인화장실에는 비상호출통화 장치가 제대로 설치돼 있었지만 휴지걸가 변기와 조금 떨어져 설치돼 있었다.

장애인화장실의 세면대 수도꼭지도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를 설치를 해야 하지만 설치가 돼 있지 않았다. 센서는 낮게 설치돼 있어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안됐다. 변기뚜껑 철거 후 등받이를 설치해야 센서가 제대로 작동, 중증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금곡역=경춘선 복선전철 역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점검한 곳 중 가장 우수했다. 그래도 일부 개선해야할 점이 보였다.

장애인주차장은 휠체어를 내릴 수 있는 공간이 충분했다. 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남녀를 구분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과 그 밑에 점자유도블록이 잘 설치돼 있었다.

남여장애인화장실은 용변기 옆에 비상호출통화 장치, 휴지걸이가 잘 설치돼 있었다. 반면 센서는 낮게 설치돼 있어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안됐다. 변기뚜껑 철거 후 등받이를 설치해야 센서가 제대로 작동, 중증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세면대 수도꼭지도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를 설치를 해야 하지만 설치가 돼 있지 않았다.

평내호평역=입구 좌측에 설치된 경사로는 너무 길어 휠체어장애인이 이용하려면, 한참을 돌아가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했다. 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설치돼 있지 않았으며, 점자유도블럭도 남여장애인화장실 앞에 설치돼 있어 개선이 필요했다.

남여장애인화장실의 세면대 수도꼭지는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를 설치를 해야 하지만 설치가 돼 있지 않았다. 센서는 낮게 설치돼 있어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안됐다. 변기뚜껑 철거 후 등받이를 설치해야한다. 핸드드라이기는 세면대 옆에 설치가 돼야 하지만 떨어져 설치가 돼 있어 사용이 불편했다.

마석역=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에게 역사를 안내할 목적으로 부식형 촉지도가 설치돼 있었다. 하지만 손으로 읽기가 불편, 반구형으로 교체돼야 한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은 화장실 안쪽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가족 및 활동보조인의 출입이 불편했다. 또한 용변기 옆에 L자 손잡이가 설치돼야 함에도 거의 一자에 가까운 손잡이가 설치돼 있었다. 비상호출통화 장치, 휴지걸이는 너무 높이 있었다.

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설치된 반면, 점자유도블록은 점자촉지판과 연결이 안됐다.

대성리역= 입구 계단 옆에 경사로 대신 엘리베이터 설치, 장애인들의 불편을 최소화했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에게 역사를 안내할 목적으로 부식형 촉지도가 설치돼 있었다. 하지만 손으로 읽기가 불편, 반구형으로 교체돼야 한다.

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설치된 반면, 점자유도블록은 점자촉지판과 연결이 안됐다.

남여장애인화장실에는 비상호출통화 장치, 휴지걸이가 사용하기 편하기 편하게 설치돼 있었다.

그러나 세면대 수도꼭지는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가 아니었다. 센서는 낮게 설치돼 있어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안됐다. 변기뚜껑 철거 후 등받이를 설치해야한다. 여자장애인화장실은 창고로 사용하고 있었다.

청평역=엘리베이터 앞 점자유도블록은 잘못 설치됐고, 출입문 앞에 점자유도블록을 설치돼 있어 휠체어장애인들의 엘리베이터 이용이 불편했다.

남자장애인화장실에는 비상호출통화 장치가 조금 높게, 휴지걸가 변기와 조금 떨어져 설치돼 있었다. 여자장애인화장실에는 휴지걸이가 없었고, 세면대 손잡이가 용변기 가까이 설치돼 있어 휠체어장애인이 사용하기 불편했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의 세면대 수도꼭지는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가 아니라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센서는 낮게 설치돼 있어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안됐다.

한편 남자화장실 소변기 양옆에는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 등을 위한 손잡이가 없어 불편을 초래했다.

상천역=장애인주차장은 휠체어를 내릴 수 있는 공간이 없어 개선이 필요했다.

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없었다. 또한 장애인화장실 앞에 설치된 점자유도블록은 화장실 입구 점자촉지판 아래로 옮겨야 한다.

남여장애인화장실에는 휴지걸가 변기와 조금 떨어져 설치돼 있었다. 세면대 수도꼭지는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가 아니라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센서도 낮게 설치돼 있어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안됐고, 핸드드라이어기가 설치돼 있지 않았다.

가평역=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잘 설치돼 있었다. 하지만 장애인화장실 앞에 설치된 점자유도블록은 화장실 입구 점자촉지판 아래로 옮겨야 한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의 변기가 출입문 가까이 설치돼 있어 휴지걸이 및 비상호출통화 장치를 이용하려면 이동해야 하는 상태였다. 세면대 수도꼭지는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가 아니라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센서는 낮게 설치돼 있어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안됐다.

이밖에도 남자화장실의 소변기 양옆에 손잡이가 없어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들이 불편할 것으로 보였다.

굴봉산역=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에게 역사를 안내할 목적으로 부식형 촉지도가 설치돼 있었다. 하지만 손으로 읽기가 불편, 반구형으로 교체돼야 한다. 또한 입구 계단 옆 경사로에는 점자유도블록이 설치돼 있어 휠체어장애인들의 이동을 방해, 철거돼야한다.

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잘 설치돼 있었다. 하지만 장애인화장실 앞에 설치된 점자유도블록은 화장실 입구 점자촉지판 아래로 옮겨야 한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의 변기가 출입문 가까이 설치돼 있어 휴지걸이 및 비상호출통화 장치를 이용하려면 이동해야 하는 상태였다. 세면대 수도꼭지는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가 아니라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센서는 낮게 설치돼 있어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안됐고, 핸드드라이어기는 세면대와 떨어져 설치돼 있었다.

이 밖에도 승차권자동발매기 앞에는 점자유도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아 시각장애인들의 이용이 어려웠다.

백양리역=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없었다. 또한 장애인화장실 앞에 설치된 점자유도블록은 화장실 입구 점자촉지판 아래로 옮겨야 한다.

남여장애인인화장실의 세면대는 높았고, 용변기 등받이가 없었다. L자 용변기 손잡이는 한쪽은 아예 없었으며, 한쪽은 짧은 L자였다. 센서는 찾아볼 수 없었고, 세정장치는 발로 눌러 사용할 수 없어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세면대 수도꼭지는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가 아니라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비상호출통화 장치, 휴지걸이는 잘 설치돼 있었다.

강촌역=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없었다. 또한 장애인화장실 앞에 설치된 점자유도블록은 화장실 입구 점자촉지판 아래로 옮겨야 한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의 용변기 양옆 L자형 손잡이는 너무 넓게 설치돼 있었다. 반면 비상호출통화 장치, 휴지걸이는 사용하기 편한 위치에 있었다.

세면대 수도꼭지는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 사용이 편리하도록 손만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 수도꼭지가 아니라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센서는 낮게 설치돼 있어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안됐다.

김유정역=이곳은 옛날 기와집 모양이며, 역사 주변에서 공사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입구 옆 경사로의 초입에는 자갈이 바닥에 깔려 있는 등 휠체어장애인의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출입문은 자동문으로, 엘리베이터는 이용하기 편하게 설치돼 있었다. 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없었다. 또한 장애인화장실 앞에 설치된 점자유도블록은 화장실 입구 점자촉지판 아래로 옮겨야 한다.

남자장애인화장실 용변기는 고장이나 있었고, 휴지걸이는 용변기와 떨어져 설치돼 있어 사용이 불편했다. 반면 비상호출통화 장치는 사용이 편했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은 센서가 높게 설치가 되어 있어서 변기뚜껑이 가리지 않았지만, 변기뚜껑 철거 후 등받이 설치를 해야 중증장애인들 편리하게 사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됐다. 세면대 수도꼭지는 손을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로 잘 설치돼 있었다.
이밖에도 남자화장실의 소변기 양옆에는 손잡이가 없어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들이 사용하기 불편했다.

남춘천역=이곳은 육교와 연결돼 있다. 육교 양쪽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돼 있어 장애인들의 이동이 편리했다.

화장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들이 남·여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자촉지판이 있었지만, 장애인화장실 앞에 설치된 점자유도블록은 화장실 입구 점자촉지판 아래로 옮겨야 한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은 비상호출통화 장치가 용변기 뒤에 있었고, 휴지걸이도 사용하기에는 너무 멀리 있었다. 핸드드라이어기 또한 찾아 볼 수 없었다.

세면대 수도꼭지는 손을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로 잘 설치돼 있었다. 센서는 낮게 설치돼 있어 용변기 변기뚜껑에 가려 작동이 안됐다.

남자화장실의 소변기 양옆에는 손잡이가 없어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들이 사용하기 불편했다.

춘천역=여자장애인화장실에는 휴지걸이 및 비상호출통화 장치가 용변기 뒤쪽에 설치돼 있어 이용할 수가 없었다. 이는 용변기가 출입문 가까이에 있어 휴지걸이 및 비상호출통화 장치의 편한 이용을 위한 설치공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남자장애인화장실에는 용변기 양옆에 L자형 손잡이가 설치돼야 하지만 한쪽 밖에 없었고, 비상호출통화 장치 및 휴지걸이가 용변기 뒤쪽에 있어 사용이 힘들었다.

남녀장애인화장실의 세면대 수도꼭지는 손을 대면 물이 나오는 감응장치로 잘 설치돼 있었다.

한편 점검한 날 춘천도착 방향 엘리베이터 고장으로 휠체어장애인 2명이 승강장에서 한참을 지체하고 있는 모습을 봤다. 비상버튼을 눌러도 역직원은 대답이 없었다. 이들은 결국 전철을 이용, 반대 상봉동방향 승강장에서 내려 엘리베이터 이용해 맞이방으로 올라 올수가 있었다.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194개 / 320 페이지 중 316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44 접근 어렵고 편의시설 없고..구미코 난관>(종합) (1)   김태형 2010-11-09 6649
43 스마트폰 문서 음성 재생 시스템 ‘액세스리더’ 개발   김태형 2010-11-08 5759
42 한시련, 5일 볼라드 제거 투쟁   김태형 2010-11-04 6383
41 ‘제3회 한국DPI대회’ 다음달 2·3일 개최   김태형 2010-11-04 6078
40 ‘턱이 없어져 휠체어장애인 자주 이용’   김태형 2010-11-03 6259
39 후천성 시각장애인에 생체공학칩 이식해 시각 복구   김태형 2010-11-03 6390
38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1등급’ 문정지구 착공   김태형 2010-11-01 5819
37 'BF 1등급' 충남시각장애인복지관 개관   김태형 2010-10-27 6200
36 ‘유니버설 디자인과 무장애건축’ 워크숍   김태형 2010-10-27 5645
35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편의시설 미흡 (1)   김태형 2010-10-26 6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