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편의 수준 ‘한심’, 이용 불편 초래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4-10-30 18:54:24
▲ 설악동 소공원 입구 주차장 앞 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으며, 출입문은 중증장애인들이 이용하기 불편한 여닫이로 전동휠체어로 들어갈 경우 공간이 좁아 출입문을 닫기 힘들다. ⓒ박종태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소공원은 장애인들이 가족, 활동보조인과 많이 찾고 있는 곳 중에 한곳이다. 하지만 최근 방문해 점검한 결과 장애인화장실의 편의는 답답한 수준으로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소공원 입구 주차장 앞에는 남녀비장애인화장실이 있으며, 내부에 장애인화장실이 마련돼 있다. 따라서 장애인들은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
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중증장애인들이 이용하기 불편한 여닫이로 전동휠체어로 들어갈 경우 공간이 좁아 출입문을 닫기 힘들다. 문고리 잠금장치도 사용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내부에는 세면대, 용변기 등받이, 비상호출버튼이 미설치됐고, 용변 후 물이 자동으로 내려가는 센서나 손발로 사용하는 세정장치가 없다. 휴지걸이는 출입문 옆 벽면에 설치돼 있어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에게 성별을 알려주는 점자표지판, 바닥에 점자블록이 미설치됐다. 또한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등산로 입구의 장애인화장실은 비장애인화장실 내부 입구에 성별로 구분돼 마련된 것처럼 보였지만 남녀공용이다. 출입구가 2곳으로 남성비장애인화장실, 여성비장애인화장실에서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미닫이문으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은 사용하기 불편하다. 문고리 잠금장치는 출입문이 겹치는 부분에 조그마한 구멍을 뚫고, 여기에 쇠막대를 끼워 넣어야 하는 상황으로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다. 더욱이 방문 당시 남성 쪽 출입문의 손잡이가 떨어져 나간 상태였다.
내부를 보면 용변기 등받이, 비상호출벨이 미설치됐고, 용변 후 물이 자동으로 내려가는 센서나 손발로 사용하는 세정장치가 없었다. 용변기 옆 벽면에 히터가 설치돼 있어 접근뿐만 아니라 L자 손잡이의 사용을 방해했다.
반면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설치됐으며,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어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비장애인화장실의 경우 입구 벽면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안내판, 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이와 관련 설악산 국립공원 관리소 담당자는 “장애인화장실 불편 사항을 조사해 (개선을) 검토 하겠다”고 밝혔다.
▲ 설악동 소공원 입구 주차장 앞 장애인화장실 내부에는 세면대, 용변기 등받이, 비상호출버튼이 미설치됐고, 용변 후 물이 자동으로 내려가는 센서나 손발로 사용하는 세정장치가 없다. 휴지걸이는 출입문 옆 벽면에 설치돼 있어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박종태
▲ 설악동 소공원 입구 주차장 앞 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에게 성별을 알려주는 점자표지판, 바닥에 점자블록이 미설치됐다. ⓒ박종태
▲ 설악동 소공원 내 등산로 입구의 남녀공용 장애인화장실 출입문 손잡이가 떨어져 나간 상태다. ⓒ박종태
▲ 설악동 소공원 내 등산로 입구의 남녀공용 장애인화장실 내부에는 용변기 등받이, 비상호출벨이 미설치됐고, 용변 후 물이 자동으로 내려가는 센서나 손발로 사용하는 세정장치가 없었다. 용변기 옆 벽면에 히터가 설치돼 있어 접근뿐만 아니라 L자 손잡이의 사용을 방해했다.ⓒ박종태
▲ 설악동 소공원 내 등산로 입구의 남녀공용 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미닫이문으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은 사용하기 불편하다. 문고리 잠금장치는 출입문이 겹치는 부분에 조그마한 구멍을 뚫고, 여기에 쇠막대를 끼워 넣어야 하는 상황으로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다. ⓒ박종태
▲ 설악동 소공원 내 등산로 입구의 비장애인화장실 벽면에는 점자표지판, 바닥에 점자블록이 미설치됐다. ⓒ박종태
▲ 설악산 소공원 산책을 하고 있는 어르신. ⓒ박종태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박종태 기자 (so0927@chol.com)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1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3203 | 선형블록 좌우 60cm 공간 확보로 시각장애인의 안전보장해야! | 시각편의센터 | 2025-06-30 | 16 | |
3202 | "노란색 횡단보도" 확대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합의 우선되어야! | 시각편의센터 | 2025-06-30 | 13 | |
3201 | 무장애 관광 3법 통과로 시각장애인의 관광 기회 확대를 기대한다 | 시각편의센터 | 2025-03-31 | 506 | |
3200 | 2025년도 제1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 시각편의센터 | 2025-03-11 | 388 | |
3199 | 연구 뿐인 시각장애인 실내 보행 네비게이션, 상용화의 그날은 언제 | 시각편의센터 | 2025-01-10 | 592 | |
3198 | 진정한 의미의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기본법을 기대하며 | 시각편의센터 | 2025-01-10 | 547 | |
3197 | [홍보]2025년 센터 주요 사업 안내 | 시각편의센터 | 2025-01-06 | 538 | |
3196 | [인식개선, 뉴스]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각 도시철도 운영사와 차... | 시각편의센터 | 2024-12-23 | 369 | |
3195 | [인식개선, 뉴스]2024 17개 시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실무자 워크... | 시각편의센터 | 2024-12-23 | 400 | |
3194 | [인식개선, 이슈]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 필요 | 첨부파일 1개 있음 | 시각편의센터 | 2024-12-16 | 744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