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 방치 중…출입문, 내부 장애인 편의도 ‘미흡’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4-12-16 09:26:14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내 화장실. 장애인화장실을 비롯한 모든 화장실의 출입문이 미닫이다. ⓒ박종태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대평동 269-14)의 장애인화장실이 고장 중인데다가 장애인 편의 시설도 미흡, 개선이 필요한 상태다.
지난 15일 방문했을 때 남녀로 구분돼 설치된 장애인화장실에는 ‘고장’이라는 안내문구가 붙어 있어 사용할 수 없었다. 터미널 관계자가 지난 9월 15일 이곳으로 이전 이후 조금 사용하다가 물이 나오지 않았다고 말한 점에 비춰보면 상당기간 이 같은 상황이 계속됐을 것으로 보인다.
장애인 편의 시설 또한 미흡했다. 출입문은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든 여닫이며, 문고리 잠금장치도 사용하기 힘들었다.
내부는 공통적으로 용변기 등받이와 비상호출벨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휴지걸이는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은 곳에 설치됐다. 세면대 손잡이도 한쪽에만 설치돼 있고, 용변기의 위치 선정을 잘 못해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로 이동하는데 불편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비장애인화장실의 경우 입구 벽면에 시각장애인에게 성별을 알려주는 점자표지판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다만, 바닥에 점자블록은 설치된 상태다.
이 밖에도 남녀장애인화장실 입구 바닥에까지 점자블록이 무분별하게 설치돼 있어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
건물을 건립한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불편 사항에 대해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전경. ⓒ박종태
▲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공통적으로 용변기 등받이와 비상호출벨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휴지걸이는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은 곳에 설치됐다. 세면대 손잡이도 한쪽에만 설치돼 있고, 용변기의 위치 선정을 잘 못해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로 이동하는데 불편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박종태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박종태 기자 (so0927@chol.com)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233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883 |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못쓰겠네! | 편의증진센터 | 2015-01-30 | 6546 | |
882 | ‘진해 장애인목욕탕’ 장애인 편의 이래서야 | 편의증진센터 | 2015-01-30 | 8555 | |
881 | 서울시 거리모니터링단 707명 활동 시작 | 편의증진센터 | 2015-01-27 | 6366 | |
880 | 점자블록은 주차장 표시? | 편의증진센터 | 2015-01-27 | 7486 | |
879 | 광주 시내버스 점자 안내 시각장애인에 ‘무용지물’ | 편의증진센터 | 2015-01-27 | 7583 | |
878 | 정부세종청사 점자안내판이 불편한 이유 | 편의증진센터 | 2015-01-22 | 6511 | |
877 | 보령시, 공공시설 장애인 편의 대대적 확충 | 편의증진센터 | 2015-01-21 | 6500 | |
876 | 재개장 장충체육관, 장애인 편의 이래서야 | 편의증진센터 | 2015-01-20 | 6398 | |
875 | 경남특수교육원 장애인 편의시설 점검해보니 | 편의증진센터 | 2015-01-16 | 7206 | |
874 | KTX 정읍역 장애인 편의시설 점검해 보니 | 편의증진센터 | 2015-01-16 | 7516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