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4-12-23 10:13:27
▲ 남원고속버스터미널의 장애인화장실은 남녀공용이다. 출입문도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 이용하기 힘든 여닫이문이다. ⓒ박종태
전북 남원시 춘향로 소재 남원고속버스터미널의 장애인화장실이 문제다. 이용 장애인을 위한 편의 수준이 미흡하기 때문.
먼저 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옆에 따로 마련돼 있지만, 남녀공용으로 장애인을 무성의 존재로 생각하고 있다.
출입문은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든 여닫이로 문고리 잠금장치도 사용하기 힘들다.
내부에는 용변기 등받이, 용변 후 물이 자동으로 내려가는 센서나 손발로 눌러 사용할 수 있는 세정장치, 비상호출벨이 미설치됐다. 용변기 옆 한쪽의 L자 손잡이는 거꾸로, 휴지걸이는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됐다. 반면 세면대에는 손잡이가 설치됐으며,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이 미설치됐다. 바닥의 점자블록은 출입문 앞에 잘 못 설치됐다. 벽면에 점자표지판을 설치하고, 앞바닥에 점자블록을 설치해야 한다.
이 밖에도 남성비장애인화장실의 소변기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 남원고속버스터미널 전경. ⓒ박종태
▲ 남녀공용장애인화장실 내부에는 용변기 등받이, 용변 후 물이 자동으로 내려가는 센서나 손발로 눌러 사용할 수 있는 세정장치, 비상호출벨이 미설치됐다. 용변기 옆 한쪽의 L자 손잡이는 거꾸로, 휴지걸이는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됐다. ⓒ박종태
▲ 남성비장애인화장실의 소변기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박종태
▲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이 미설치됐다. 바닥의 점자블록은 출입문 앞에 잘 못 설치됐다. 벽면에 점자표지판을 설치하고, 앞바닥에 점자블록을 설치해야 한다. ⓒ박종태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박종태 기자 (so0927@chol.com)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244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771 | 장애인 편의 부족한 ‘서천군청소년수련관’ | 편의증진센터 | 2014-09-01 | 5856 | |
770 | “춘천 명동 장애인 배려 없다” | 편의증진센터 | 2014-08-19 | 7909 | |
769 | 동대문 한가운데서... 길이 끊겼다 | 편의증진센터 | 2014-08-19 | 7653 | |
768 | 보행약자 위협하는 볼라드 | 편의증진센터 | 2014-08-19 | 6970 | |
767 | 일반주택에도 고령자 등 위한 설계기준 생긴다 | 편의증진센터 | 2014-08-19 | 6756 | |
766 | 환상의 나라 에버랜드, 장애인은 ‘그림의 떡’ | 편의증진센터 | 2014-08-12 | 6488 | |
765 | 각양각색 볼라드… 보행자 위협 ‘지뢰밭’ | 편의증진센터 | 2014-08-12 | 7087 | |
764 | 울산남구청, 청사 내 장애인 편의시설 대폭 확충 | 편의증진센터 | 2014-08-12 | 8968 | |
763 | 개원 앞둔 교통재활병원 장애인편의 ‘흑과 백’ | 편의증진센터 | 2014-08-11 | 7307 | |
762 | 시각장애인 보행권보다는 행사? | 편의증진센터 | 2014-08-04 | 7184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