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적으로 ‘양호’…계단 점자표지판 등 일부 ‘미흡’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5-01-15 13:24:45
▲ 새로 지어진 정읍역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박종태
호남고속철도 전북 서남권의 중심부에 있는 KTX 정읍역사가 선상역사로의 건립을 마치고, 지난 13일 영업을 시작했다.
정읍역은 하루 4000여명이 이용 가능하도록 총 넓이 4303㎡ 규모의 초현대식 건물로 지어졌다. 하지만 마무리 공사가 진행 중에 있어 조금은 어수선한 분위기다.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살펴보면 엘리베이터는 외부에 2대와 승강장에 4대가 설치됐는데 버튼 밑에 점자블록이 설치되는 등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
장애인화장실은 2층 맞이방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의 입구에 각각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기 불편하다.
출입문은 터치식자동문으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편하고, 내부에는 용변기 등받이와 비상호출벨이 사용하기 편한 위치에 양호하게 설치됐다. 휴지걸이는 앉아서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돼 있어 불편을 초래하고, 세면대 용변기 방향 손잡이는 고정식으로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가 접근하기에는 폭이 좁아 상하가동식으로 교체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에게 성별을 알려주는 점자표지판과 음성유도기가 설치돼 문제가 없었던 반면, 점자블록은 출입구에 무분별하게 설치돼 있다. 점자블록은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설치하면 된다.
또한 남성비장애인화장실의 소변기 한 곳에는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양 옆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다.
매표소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높이에 맞춰 낮췄으며, 시각장애인이 매표소를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해 주는 음성안내기가 설치돼 있다.
이 밖에도 정읍역 입구 계단에는 점자블록, 손잡이가 양호하게 설치된 반면, 시각장애인이 만져 층수를 알 수 있는 핸드레일 점자안내판이 미설치됐다.
▲ 새로 지어진 정읍역(사진 좌)와 구 역사. ⓒ박종태
▲ 정읍역 입구 계단에는 점자블록, 손잡이가 양호하게 설치된 반면, 시각장애인이 만져 층수를 알 수 있는 핸드레일 점자안내판이 미설치됐다. ⓒ박종태
▲ 매표소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높이에 맞춰 낮췄으며, 시각장애인이 매표소를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해 주는 음성안내기가 설치돼 있다. ⓒ박종태
▲ 매표소 옆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기가 설치돼 있다. ⓒ박종태
▲ 맞이방과 승강장을 연결하는 엘리베이터 4대가 설치돼 있다. ⓒ박종태
▲ 장애인화장실은 2층 맞이방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의 입구에 각각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기 불편하다. 출입문은 터치식자동문으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편하고, 내부에는 용변기 등받이와 비상호출벨이 사용하기 편한 위치에 양호하게 설치됐다. ⓒ박종태
▲ 남성비장애인화장실의 소변기 한 곳에는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양 옆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다. ⓒ박종태
▲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에게 성별을 알려주는 점자표지판과 음성유도기가 설치돼 문제가 없었던 반면, 점자블록은 출입구에 무분별하게 설치돼 있다. ⓒ박종태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박종태 기자 (so0927@chol.com)
전체 검색 수 : 3203개 / 321 페이지 중 240 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자 | 읽음 |
---|---|---|---|---|---|
813 | 인색한 ‘점자블록’ 사라진 ‘희망의 길’… 시각장애 학생들 ‘고생길’ | 편의증진센터 | 2014-10-20 | 6862 | |
812 | 시각장애인 위험 초래, ‘BF 인증기준’ | 편의증진센터 | 2014-10-20 | 8039 | |
811 | 시각장애인 배려없는 횡단보도 | 편의증진센터 | 2014-10-20 | 6861 | |
810 | 장애인 편의시설 미흡 세빛섬 한강에 '둥둥' | 편의증진센터 | 2014-10-20 | 6989 | |
809 | 건축기사 자격시험에 장애인편의시설 ‘반영’ | 편의증진센터 | 2014-10-20 | 6520 | |
808 | 개관한 한글박물관 장애인 편의 점검해보니 | 편의증진센터 | 2014-10-20 | 6588 | |
807 | 전남지역 음식점 장애인 편의시설 사실상 전무 | 편의증진센터 | 2014-10-20 | 6757 | |
806 | 제천시외·고속버스터미널 장애인화장실 ‘무용지물’ | 편의증진센터 | 2014-10-13 | 6583 | |
805 | 동부경찰서 장애인 편의시설 '시늉만' | 편의증진센터 | 2014-10-10 | 7299 | |
804 | 부산시 전국 최초 원격관리 음향신호기 도입 | 편의증진센터 | 2014-10-10 | 7918 |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