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통영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인 편의 ‘흑과 백’
편의증진센터
2015-04-09
6629

 

시각장애인 관련 편의, 장애인화장실 일부 ‘문제’


각실 출입문 터치식자동문, 장애인주차장 ‘양호’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5-04-09 08:57:12

 

입구 옆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가 설치돼 있으나 점자블록이 있어 이동하는 데 불편이 따른다. ⓒ박종태 

▲ 입구 옆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가 설치돼 있으나 점자블록이 있어 이동하는 데 불편이 따른다. ⓒ박종태 

 

경남 통영지역 장애인들의 숙원사업인 ‘통영시장애인종합복지관(이하 통영장복)’이 지난 3일 개관,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통영장복은 지하1층~지상3층 규모로 ▲지하1층: 기계실 ▲지상1층: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보육교사실, 식당, 사무실 ▲지상2층: 특수교육실, 물리치료실, 심리치료실 ▲지상 3층: 관장실, 보호작업장, 여성장애인 공방, 프로그램실, 희망·행복나래실, 한국농아인협회 통영시지부 수화통역센터 사무실이 들어서 있다. 또한 학교법인 박영학원(신라대학)이 수탁 받아 운영하고 있다.

지난 7일 통영장복을 직접 방문해 장애인들이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을 지 장애인 편의 시설을 점검했다.

먼저 입구 옆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가 설치돼 있으나 점자블록이 있어 이동하는 데 불편이 따른다.

출입구 옆 점자안내판의 재질은 견고하지 못해 잘 부러지거나 깨지고, 햇빛에 변색이 되고 세재로 닦을 시 변질되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카보네이트다.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음성유도기는 설치된 반면, 인적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직원호출벨은 없다.

화재 재난 시 대피할 수 있는 경사로는 2층까지만 설치돼 있는데 눈이나 비가 올 경우를 대비, 비가림막을 설치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

3층은 화재 시 임시 대피를 할 수 있는 베란다가 없고,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사용할 수 없는 미끄럼틀구조대만 설치됐다.

1층과 2층에 남녀공용으로 설치된 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터치식자동문으로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들이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없고, 내부는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가 이동하는데 불편이 없을 정도로 넓다.

내부를 살펴보면 어린이 용변기가 설치돼 있고,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세면대 손잡이는 전동스쿠터나 전동휠체어의 세면대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상하가동식으로 설치됐다. 하지만 용변기 등받이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1~3층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들이 이용하기 불편한 여닫이며, 잠금장치도 사용할 수 없어 문제다. 내부에는 휴지걸이와 비상호출벨이 용변기에 앉았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됐고, 세면대 손잡이도 상하가동식인 반면 용변기 등받이는 미설치됐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바닥에 점자블록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남성비장애인화장실 소변기에는 손잡이가 설치돼 있어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통영장복 강당을 제외하고 각 실 출입문은 터치식자동문으로 설치해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의 이용 편의를 높였다. 여기에 시각장애인을 위해 터치식자동문 옆 벽면에 점자안내판을 설치했지만, 바닥에 점자블록이 없어 불편을 겪게 된다.

내부 계단에는 한쪽에만 손잡이가 설치돼 있는 반면 손잡이에 점자표지판, 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다.

강당의 단상에는 경사로가 설치돼 있으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는 휠체어를 내릴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돼 있다.

이에 대해 통영장복 담당자는 “장애인들에게 불편을 주는 사항은 운영을 하면서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통영시장애인종합복지관 전경. ⓒ박종태
 

▲ 통영시장애인종합복지관 전경. ⓒ박종태  

 

출입구 옆 점자안내판의 재질은 견고하지 못해 잘 부러지거나 깨지고, 햇빛에 변색이 되고 세재로 닦을 시 변질되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카보네이트다.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음성유도기는 설치된 반면, 인적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직원호출벨은 없다. ⓒ박종태 

▲ 출입구 옆 점자안내판의 재질은 견고하지 못해 잘 부러지거나 깨지고, 햇빛에 변색이 되고 세재로 닦을 시 변질되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카보네이트다.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음성유도기는 설치된 반면, 인적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직원호출벨은 없다. ⓒ박종태 

 

1층과 2층에 남녀공용으로 설치된 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터치식자동문이며, 내부는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가 이동하는데 불편이 없을 정도로 넓다. 내부를 살펴보면 어린이 용변기가 설치돼 있고,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세면대 손잡이는 전동스쿠터나 전동휠체어의 세면대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상하가동식으로 설치됐다. 하지만 용변기 등받이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 1층과 2층에 남녀공용으로 설치된 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터치식자동문이며, 내부는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가 이동하는데 불편이 없을 정도로 넓다. 내부를 살펴보면 어린이 용변기가 설치돼 있고, 휴지걸이는 용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세면대 손잡이는 전동스쿠터나 전동휠체어의 세면대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상하가동식으로 설치됐다. 하지만 용변기 등받이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1~3층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들이 이용하기 불편한 여닫이며, 잠금장치도 사용할 수 없어 문제다. ⓒ박종태 

▲ 1~3층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들이 이용하기 불편한 여닫이며, 잠금장치도 사용할 수 없어 문제다. ⓒ박종태 

 

1~3층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는 휴지걸이와 비상호출벨이 용변기에 앉았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됐고, 세면대 손잡이도 상하가동식인 반면 용변기 등받이는 미설치됐다.ⓒ박종태 

▲ 1~3층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는 휴지걸이와 비상호출벨이 용변기에 앉았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됐고, 세면대 손잡이도 상하가동식인 반면 용변기 등받이는 미설치됐다.ⓒ박종태 

 

화재 재난 시 대피할 수 있는 경사로는 2층까지만 설치돼 있는데 눈이나 비가 올 경우를 대비, 비가림막을 설치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 ⓒ박종태 

▲ 화재 재난 시 대피할 수 있는 경사로는 2층까지만 설치돼 있는데 눈이나 비가 올 경우를 대비, 비가림막을 설치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 ⓒ박종태 

 

3층은 화재 시 임시 대피를 할 수 있는 베란다가 없고,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사용할 수 없는 미끄럼틀구조대만 설치됐다. ⓒ박종태 

▲ 3층은 화재 시 임시 대피를 할 수 있는 베란다가 없고,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사용할 수 없는 미끄럼틀구조대만 설치됐다. ⓒ박종태 

 

통영장복 강당을 제외하고 각 실 출입문은 터치식자동문으로 설치해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의 이용 편의를 높였다. 여기에 시각장애인을 위해 터치식자동문 옆 벽면에 점자안내판을 설치했지만, 바닥에 점자블록이 없어 불편을 겪게 된다. ⓒ박종태 

▲ 통영장복 강당을 제외하고 각 실 출입문은 터치식자동문으로 설치해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의 이용 편의를 높였다. 여기에 시각장애인을 위해 터치식자동문 옆 벽면에 점자안내판을 설치했지만, 바닥에 점자블록이 없어 불편을 겪게 된다. ⓒ박종태 

 

내부 계단에는 한쪽에만 손잡이가 설치돼 있는 반면 손잡이에 점자표지판, 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다. ⓒ박종태 

▲ 내부 계단에는 한쪽에만 손잡이가 설치돼 있는 반면 손잡이에 점자표지판, 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다. ⓒ박종태 

 

*박종태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일명 '장애인권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박종태 기자 (so0927@chol.com)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217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1041 [TF의 눈] 지하철역 점자표기, 눈에 다 보이잖아요~   편의증진센터 2015-09-14 6766
1040 안산 상록구청, 인도에 선형블록 설치 '외면'   편의증진센터 2015-09-11 6474
1039 “장애인복지관 가는길 20㎝ 높이 보도턱”   편의증진센터 2015-09-11 7269
1038 '검정색' 점자블록…"시각장애인 어떻게 보라고"   편의증진센터 2015-09-11 6935
1037 방치된 시각장애인용 점자 보도블럭   편의증진센터 2015-09-11 6418
1036 안전한 횡단보도? 시각장애인 ‘위험천만’   편의증진센터 2015-09-11 5767
1035 점자블록 위 횡단보도표지판 설치 ‘이래서야’   편의증진센터 2015-09-11 5632
1034 시각장애인 배려 부족, 성포동 ‘홈플러스 안산점’   편의증진센터 2015-09-11 7055
1033 경기도교육청, 학교내 편의시설 관리상태 점검   편의증진센터 2015-09-11 5065
1032 장애인 회피, 성균관대역 30개월 후 싹 바뀐다   편의증진센터 2015-09-11 6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