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시각장애인들 길바닥 언어를 잃다
편의증진센터
2015-05-29
7299

 제296회 이달의 기자상 전문보도 사진 / 한국일보 박서강 기자

 

한국일보 박서강 기자2015.05.27 13:56:59

 

 

도로 위 교통 표지판이 하나 같이 흐릿하거나 잘못된 방향을 지시하고 있다면 운전자에겐 낭패가 아닐 수 없다. 이정표만을 믿고 가는 초행길이라면 더더욱 큰 일이다. 목적지에 닿기도 전에 길을 잃을 수도 있고 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앞을 보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에게 길 바닥의 유도블록은 곧 이정표다. 보통 일직선 모양은 ‘이 방향대로 진행’을, 동그라미 여러 개는 ‘방향이 바뀌거나 갈라짐, 또는 전방에 장애물이 있음’을 뜻한다. 그런데 서울 도심 거리에 설치된 이 시각장애인용 이정표 상당수가 엉터리다. 유도블록을 따라 걸어보면 꼭 필요한 곳에는 없거나 블록 모양이 갖는 의미를 무시한 채 주먹구구로 설치한 곳이 적지 않다. 장애인을 위한 시설을 비장애인의 눈높이로 설치하고 관리해온 까닭에 맞춤법부터 방향 지시까지 엉망인 경우가 허다하다.


명동의 사정은 경기 고양시의 경우에 비하면 그나마 나은 편이다. 구조상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중앙차로 버스정류장 10여 곳에서 유도블록 수백 개가 뜯기거나 깨져 있었다. “이미 파악은 하고 있지만 예산 문제 때문에 당장 교체가 어렵다”는 시청 관계자의 뻔뻔한 해명은 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우리 장애인 정책의 민낯 그 자체였다.


감격스러운 수상 소식에 잊고 있던 숙제가 떠올랐다. “기사와 함께 올려주신 동영상은 시각장애인들이 확인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잠시 시간을 내주시어 음성 멘트를 넣어 주십사…”


보도 직후 배달된 독자 편지는 나 역시 시각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음을 지적하고 있었다. 사실, 바쁘다는 핑계로 문제의 동영상 수정작업은 여태 엄두도 못 내고 있다. 목청 높여가며‘장애인에 대한 배려’운운하더니 그새 유도블록 따위 관심도 없는 대다수 비장애인 중 하나로 돌아간 건 아닌지, 부끄러운 고백으로 수상소감을 대신한다. 

 

관련기사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36593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1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3201 무장애 관광 3법 통과로 시각장애인의 관광 기회 확대를 기대한다   시각편의센터 2025-03-31 112
3200 2025년도 제1차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시각편의센터 2025-03-11 136
3199 연구 뿐인 시각장애인 실내 보행 네비게이션, 상용화의 그날은 언제   시각편의센터 2025-01-10 328
3198 진정한 의미의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기본법을 기대하며   시각편의센터 2025-01-10 280
3197 [홍보]2025년 센터 주요 사업 안내   시각편의센터 2025-01-06 279
3196 [인식개선, 뉴스]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각 도시철도 운영사와 차...   시각편의센터 2024-12-23 199
3195 [인식개선, 뉴스]2024 17개 시도 시각장애인 편의시설지원센터 실무자 워크...   시각편의센터 2024-12-23 255
3194 [인식개선, 이슈]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 필요 첨부파일 1개 있음 시각편의센터 2024-12-16 162
3193 [인식개선, 이슈]화재 등 재난극복을 위한 시각장애인 자구책 마련 절실   시각편의센터 2024-12-13 174
3192 [인식개선, 이슈]시각장애인에겐 불편한 편의시설- 혼자서는 풀 수 없는 열...   시각편의센터 2024-12-13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