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알림마당

관련뉴스

시각장애인들 길바닥 언어를 잃다
편의증진센터
2015-05-29
7306

 제296회 이달의 기자상 전문보도 사진 / 한국일보 박서강 기자

 

한국일보 박서강 기자2015.05.27 13:56:59

 

 

도로 위 교통 표지판이 하나 같이 흐릿하거나 잘못된 방향을 지시하고 있다면 운전자에겐 낭패가 아닐 수 없다. 이정표만을 믿고 가는 초행길이라면 더더욱 큰 일이다. 목적지에 닿기도 전에 길을 잃을 수도 있고 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앞을 보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에게 길 바닥의 유도블록은 곧 이정표다. 보통 일직선 모양은 ‘이 방향대로 진행’을, 동그라미 여러 개는 ‘방향이 바뀌거나 갈라짐, 또는 전방에 장애물이 있음’을 뜻한다. 그런데 서울 도심 거리에 설치된 이 시각장애인용 이정표 상당수가 엉터리다. 유도블록을 따라 걸어보면 꼭 필요한 곳에는 없거나 블록 모양이 갖는 의미를 무시한 채 주먹구구로 설치한 곳이 적지 않다. 장애인을 위한 시설을 비장애인의 눈높이로 설치하고 관리해온 까닭에 맞춤법부터 방향 지시까지 엉망인 경우가 허다하다.


명동의 사정은 경기 고양시의 경우에 비하면 그나마 나은 편이다. 구조상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중앙차로 버스정류장 10여 곳에서 유도블록 수백 개가 뜯기거나 깨져 있었다. “이미 파악은 하고 있지만 예산 문제 때문에 당장 교체가 어렵다”는 시청 관계자의 뻔뻔한 해명은 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우리 장애인 정책의 민낯 그 자체였다.


감격스러운 수상 소식에 잊고 있던 숙제가 떠올랐다. “기사와 함께 올려주신 동영상은 시각장애인들이 확인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잠시 시간을 내주시어 음성 멘트를 넣어 주십사…”


보도 직후 배달된 독자 편지는 나 역시 시각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음을 지적하고 있었다. 사실, 바쁘다는 핑계로 문제의 동영상 수정작업은 여태 엄두도 못 내고 있다. 목청 높여가며‘장애인에 대한 배려’운운하더니 그새 유도블록 따위 관심도 없는 대다수 비장애인 중 하나로 돌아간 건 아닌지, 부끄러운 고백으로 수상소감을 대신한다. 

 

관련기사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36593 

없음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검색 수 : 3201개 / 321 페이지 중 233 페이지

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자 읽음
881 서울시 거리모니터링단 707명 활동 시작   편의증진센터 2015-01-27 6098
880 점자블록은 주차장 표시?   편의증진센터 2015-01-27 7095
879 광주 시내버스 점자 안내 시각장애인에 ‘무용지물’   편의증진센터 2015-01-27 7312
878 정부세종청사 점자안내판이 불편한 이유   편의증진센터 2015-01-22 6244
877 보령시, 공공시설 장애인 편의 대대적 확충   편의증진센터 2015-01-21 6280
876 재개장 장충체육관, 장애인 편의 이래서야   편의증진센터 2015-01-20 6197
875 경남특수교육원 장애인 편의시설 점검해보니   편의증진센터 2015-01-16 6948
874 KTX 정읍역 장애인 편의시설 점검해 보니   편의증진센터 2015-01-16 7188
873 포항북부장애인복지관 장애인편의 이래서야   편의증진센터 2015-01-16 5920
872 군산시외버스터미널 장애인화장실 있으나 마나   편의증진센터 2015-01-16 7279